본문 바로가기

2018/03/2114

[시도지정 기념물 제 238호] 장흥 신북 구석기 유적 시도 기념물 제 238호 장흥신북구석기유적 (長興 新北 舊石器遺蹟) 분 류 유적건조물/유물산포지유적산포지/육상유물산포지/선사유물 수량/면적 일원70,586㎡(34필지) 지정(등록)일 2008.04.11 소 재 지 장동면 북교리 신북마을 일원(9-19번지 외) 시 대 석기시대 소유자(소유단체) 관리자(관리단체) 장흥 신북 구석기유적은 장흥군 장동면 북교리 신북마을이 자리한 검은둥이 언덕(해발 190~165m)의 남쪽에 있다. 신북유적의 규모는 유물이 확인된 범위를 기준하면 약 12만여㎡으로 추산되고, 유물이 들어있는 지층의 분포 범위로 보면 신북마을을 포함한 언덕 전체가 해당되어 약 30여만㎡으로 추정된다. 2002년 8월에 국도2호선 장흥-장동간 도로 확포장 구간도로 건설 구간의 교량 터파기 공사 때 문.. 2018. 3. 21.
[시도지정 기념물 제221호] 장흥 풍길리 청자요지 장흥풍길리청자요지 (長興豊吉里靑瓷窯址) 종 목 시도기념물 제221호 명 칭 장흥풍길리청자요지 (長興豊吉里靑瓷窯址) 분 류 유적건조물/산업생산/요업/도자기가마 수량/면적 일원(2필지, 3,000㎡) 지정(등록)일 2004-02-13 시 대 고려시대 고려시대 초기 청자 가마터로 지정구역 면적은 3,000㎡이다. 마을 뒤 두암저수지 주변, ‘도둑골’이라고 부르는 남동향의 급경사지로, 저수지 상류로 가는 농로를 따라 약 500m 가면 있다. 가마 방향은 남-북으로 추정된다. 퇴적층은 일부만 확인되는데 갑발(匣鉢) 등 요도구(窯道具)와 청자 일부가 발견되었다. 요도구는 가마에서 번조(燔造) 때 사용하던 원통형 갑발과 ㅠ자형 갑발 받침 등이 발견되었다. 갑발은 크기가 다양하며 형태는 원통형인데, 윗면 중심부가 낮은.. 2018. 3. 21.
[시도지정 기념물 제 218호] 천도교장흥교당 천도교장흥교당 (天道敎長興敎堂) 종 목 시도기념물 제218호 명 칭 천도교장흥교당 (天道敎長興敎堂) 분 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민족종교/천도교 수량/면적 1동 지정(등록)일 2003-05-27 시 대 일제강점기 장흥 천도교당은 원래 1906년 4월에 동학의 후예인 교구장 강봉수(姜琫秀) 등이 중심이 되어 천도교인에게 모금운동을 전개하여 지어졌다. 천도교장흥군교구역사〉와 교당 내부에 걸린 〈교구실기(敎區室記〉(1920년)를 통하여 당시 개축에는 전남의사원(全南議事員) 신명희(申明熙), 장흥교구장 김재계, 수령 강봉수, 윤세현 등이 주도하였다는 것과 1917년(포덕오십육년정사(布德五十六年丁巳) 11월부터 한달여에 걸쳐 2,300원(圓)을 모금하여 1918년 2월 15일에 건축을 시작하여 6개월만인 8월 26.. 2018. 3. 21.
[시도지정 기념물 제134호]장흥 방촌리 지석묘군 시도기념물 제 134호 장흥방촌리지석묘군 (長興傍村里支石墓群) 분 류 유적건조물/무덤/무덤/지석묘 수량/면적 일원(90여기) 지정(등록)일 1990.12.05 소 재 지 전남 장흥군 관산읍 방촌리 588-1번지 시 대 소유자(소유단체) 관리자(관리단체) 장흥군 지석묘는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무덤으로 고인돌이라고도 부르며, 주로 경제력이 있거나 정치권력을 가진 지배층의 무덤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의 고인돌은 4개의 받침돌을 세워 돌방을 만들고 그 위에 거대하고 평평한 덮개돌을 올려 놓은 탁자식과, 땅 속에 돌방을 만들고 작은 받침돌을 세운 뒤 그 위에 덮개돌을 올린 바둑판식으로 구분된다.전라남도 지방은 전국에서 가장 많은 고인돌이 분포하고 있는 곳으로 지금까지 2만기 이상이 알려져 있다. 전라남도 장흥.. 2018. 3. 21.
[시도지정 기념물 제68호] 용호정원림 시도지정 기념물 제 68호 용호정원림 (龍湖亭圓林) 분 류 자연유산/천연기념물/생물과학기념물/생물상 수량/면적 일원 지정(등록)일 1985.02.15 소 재 지 전남 장흥군 부산면 용반리 545번지 시 대 소유자(소유단체) 관리자(관리단체) 낭주최씨종중 용호정은 비가 와 강물이 넘치면 강 건너 부친의 묘에 성묘를 하지 못하고, 바라만 보며 명복을 빌던 아버지 최영택을 위해 최규문이 조선 순조 28년(1828)에 지은 정자로, 최규문의 부친에게는 ‘부친을 바라보는 정자’요, 최규문에게는 ‘부친을 위로하는 정자’라 하였다. 정자는 느티나무 목재로 만든 8개의 원형 기둥을 세우고, 밤나무와 느티나무 목재만을 사용하여 지은 목조 기와집이다. 특히 사방에 놓여있는 마루는 못을 사용하지 않는 특수공법으로 조립되었다.. 2018. 3. 21.
[시도지정 기념물 제 67호] 부춘정원림 시도기념물 제 67호 부춘정원림 (富春亭園林) 분 류 자연유산/천연기념물/생물과학기념물/생물상 수량/면적 일원 지정(등록)일 1985.02.15 소 재 지 전남 장흥군 부산면 부춘길 79 (부춘리) 시 대 소유자(소유단체) 관리자(관리단체) 청풍김씨종중 부춘정은 임진왜란(1592), 정유재란(1597) 때 혁혁한 공을 세운 문희개 선생이 고향으로 돌아와 선조 31년(1598)에 지은 정자로 원래는 문희개의 호를 따서 ‘청영정’이라 하였으나 후에 부춘정으로 비뀌었다. 건물은 앞면 3칸·옆면 2칸 규모이며, 2칸의 온돌방과 2칸의 대청을 두고 앞뒤로 반칸의 툇마루를 두었다. 지붕은 옆면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정자가 서 있는 절벽 밑으로 물에 잠긴 바위에는 옥봉 백광훈이 썼다는 ‘용호(龍湖).. 2018. 3. 21.
[시도지정 기념물 제 59호] 장흥수인산성 장흥수인산성 (長興修仁山城) 종 목 시도기념물 제59호 명 칭 장흥수인산성 (長興修仁山城) 분 류 유적건조물/정치국방/성/성곽 수량/면적 일원 지정(등록)일 1982-10-15 시 대 미분류 전라남도 장흥군과 강진군의 경계를 이루고 있는 해발 561m의 수인산 산마루를 이어 돌로 쌓아 만든 산성이다. 성벽은 직사각형으로 다듬은 돌을 이용하여 이물려쌓기(돌의 단을 조금씩 들여 넣으면서 쌓는 일)를 하였는데, 총 연장 길이 6㎞, 높이 약 5m, 너비 4m로 남문, 북문, 동문이 있다. 성의 동쪽부분은 2중으로 성벽을 쌓았는데, 이러한 방식은 백제 때 나타나는 수법으로 미루어 백제의 성으로 추정된다. 기록에 의하면 고려말에 도강·탐진·보성·장흥·영암지역 백성들이 이곳에 들어와 왜구를 피했으며, 조선 태종(재.. 2018. 3. 21.
[시도지정 기념물 제30호] 장흥이조백자도요지 장흥이조백자도요지[長興李朝白磁陶窯址] 유형 유적 성격 도요지 건립시기·연도 조선시대 소재지 전라남도 장흥군 용산면 월송리 문화재 지정번호 전라남도 시도기념물 제30호 문화재 지정일 1977년 10월 20일 전라남도 기념물 제30호. 월송리 재홍마을의 동쪽 골짜기를 ‘사그점골’이라 하는데, 백자요지는 이 골짜기에 있는 월송저수지 동쪽 500m 지점에 위치한다.현재 완만한 자연 경사면에 약 100여m의 간격을 두고 2기의 가마가 노출되어 있다. 가마는 정남향으로 자리하고 있으며 2기 모두 여러 개의 방으로 이루어진 칸가마이다.두 가마 모두 노출된 상황으로 보아 4개의 방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가마 끝의 격벽(隔壁 : 칸을 막은 벽)의 상황으로 보아 5칸이었을 가능성도 있다. 가마는 봉통 부분쪽인 1실이 가장 .. 2018. 3. 21.
[시도 유형문화재 제 304호] 장흥 신흥사 소장 정방사명 동종 [시도 유형문화재 제 304호] 장흥 신흥사 소장 정방사명 동종 (長興 新興寺 所藏 井方寺銘 銅鐘) 분 류 유물/불교공예/의식법구/의식법구 수량/면적 1구 지정(등록)일 2009.12.31 소 재 지 장흥읍 연산리 89-8번지 신흥사 시 대 조선시대 소유자(소유단체) 장흥 신흥사에 소장된 “海南 井方寺銘 銅鐘”은 조선후기[1751년, 영조 27년, 乾隆十六年 辛未 五月日]에 제작되었지만 고려시대 걸작인 탑산사종(보물 88호, 1233년 추정)과 상당한 친연성이 느껴진다. 신흥사 동종은 고려 종에 비해 구경이 넓고 상대와 유곽사이에 범자문이 있으며 유곽사이에 보살입상이 있고 단아한 몸체와 정교한 문양, 그리고 아름다운 용뉴의 표현은 조선종으로서는 보기 드물게 좋은 작품이다. 종을 제작한 도편수 윤취오(尹就.. 2018. 3. 21.
[시도지정 유형문화재 제 218호] 노봉선생문집목판 장흥연곡서원노봉선생문집목판 (長興淵谷書院老峯先生文集木板) 종 목 시도유형문화재 제218호 명 칭 장흥연곡서원노봉선생문집목판 (長興淵谷書院老峯先生文集木板) 분 류 기록유산/전적류/목판본/사간본 수량/면적 298판 지정(등록)일 1999-07-05 시 대 미분류 조선 숙종 때의 문신이자 학자인 노봉 민정중(1628∼1692)의 시문집을 새긴 목판이다. 정조 8년(1784)에 판을 새겼으며, 298매가 남아 있다. 민정중은 송시열의 문인으로, 효종 즉위년(1649)에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성균관전적, 예조좌랑, 홍문관수찬와 각 도의 암행어사의 벼슬을 지냈다. 그후 성균관대사성, 이조참판, 우의정, 좌의정 등을 지내고 1689년 기사환국으로 남인이 집권하자 노론의 여러 사람들과 함께 벼슬을 빼앗기고 벽동에 .. 2018. 3. 21.
[시도지정 유형문화재 제 18호] 장흥 연곡서원 시도지정 유형문화재 제 18호 장흥연곡서원 (長興淵谷書院) 분 류 유적건조물/교육문화/교육기관/서원 수량/면적 일원 지정(등록)일 1974.12.26 소 재 지 전남 장흥군 장흥읍 연곡길 31 (원도리) 시 대 소유자(소유단체) 관리자(관리단체) 연곡서원 노봉 민정중(1628∼1692)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세운 서원이다. 민정중은 조선 후기 문신으로 호조·공조판서 등 여러 벼슬을 거쳐 우의정과 좌의정을 역임한 분이다. 숙종 원년(1675) 당쟁으로 장흥에 유배되었을 때 이 지방 선비들을 가르쳤는데 지금 있는 서원 자리에서 강회를 열었다고 전한다. 장흥 연곡서원은 숙종 24년(1698)에 세웠으며 숙종 42년(1716) 민정중의 동생인 민유중을 추가로 모셨다. 영조 2년(1726)에 나라에서 인.. 2018. 3. 21.
[시도지정 유형문화재 제193호] 장흥구룡리마애여래좌상 장흥구룡리마애여래좌상 (長興九龍里磨崖如來坐像) 종 목 시도유형문화재 제193호 명 칭 장흥구룡리마애여래좌상 (長興九龍里磨崖如來坐像) 분 류 유물/불교조각/석조/불상 수량/면적 일원(1,000㎡) 지정(등록)일 1998-02-05 시 대 고려시대 전라남도 장흥군 부산면 구룡리 자미 마을 뒤편 높이 20m가량 되는 병풍 바위에 새긴 마애불이다. 지상에서 약 6m 높이에 선으로 새겨 표현하였는데, 바위면이 평평하지 않아 전체 윤곽을 파악하기 힘들다. 민머리의 정수리 부근에는 상투 모양의 머리묶음이 높이 솟아 있고, 얼굴에는 콧등만이 유난히 돌출되어 있어 인상적이다. 옷은 양 어깨에 걸치고 있는데 무릎 밑으로 옷주름이 흘러 내려와 있다. 아랫부분으로 내려오면서 마모가 심해 정확한 윤곽을 알 수 없다. 오른손은 .. 2018. 3. 21.
[시도지정 유형문화재 제191호] 장흥전의상암지석불입상 장흥전의상암지석불입상 (長興傳義湘庵址石佛立像) 종 목 시도유형문화재 제191호 명 칭 장흥전의상암지석불입상 (長興傳義湘庵址石佛立像) 분 류 유물/불교조각/석조/불상 수량/면적 1구 지정(등록)일 1998-02-05 시 대 통일신라시대 원래 전라남도 장흥읍 제암산 중턱에 있는 의상암 절터에 있던 것인데, 1994년부터 보림사로 옮겨 모시고 있다. 몸 뒤의 광배(光背)와 목 부분에 약간의 파손이 있지만 전체적으로 양호한 편이다. 민머리 위에 상투 모양의 머리묶음이 높게 표현되었고 얼굴은 계란형이다. 옷은 양 어깨를 감싸고 있으며 가슴 위까지 U자형 주름을 이루고 있다. 양 팔에 걸쳐진 옷자락은 물결 모양의 주름을 만들면서 무릎까지 길게 드리워졌다. 오른손의 엄지와 검지를 맞대고 있는 것으로 볼 때 아마타여래.. 2018. 3. 21.
[시도지정 유형문화재 제 164호] 반계사 유물일괄 반계사유물일괄 (盤谿祠遺物一括) 종 목 시도유형문화재 제164호 명 칭 반계사유물일괄 (盤谿祠遺物一括) 분 류 유물 수량/면적 5종 8점 지정(등록)일 1988-12-21 시 대 미분류 반계사에 모셔진 조선 선조 때의 정경달(1542∼1602)과 관련된 자료들이다. 반계사는 숙종 40년(1714)에 영광 정씨 문중이 중심이 되어 건립한 것으로,영광 정씨의 정인걸, 정경달, 정명설, 정남일 네 사람과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큰 공을 세운 이순신, 임영립을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건물이다. 고종 5년(1868) 훼손 되었던 것을 1957년 지금의 자리에 강당을 새로 짓고, 1959년에 탑을 세워 사우로서의 기능을 대신케 하였다. 유물과 유품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반곡의『난중일기』는 정경달이 임진왜란 초에.. 2018. 3.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