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인의 시론‧시적 사유 모아 “사유 있는 큰 시 주제”로 써 온 시인
위선환 시법(詩法) 독특 … “한국 현대시 새 지평 열어”
장흥출신의 저명한 시인, 위선환 시인이 시의 곁자리에다 메모하기 버릇했던 “기실 내가 나에게 주의하거나 내가 나를 설득하며 조심하던 말”들을 모아서 묶은 시 에세이집 《비늘들》(도서출판 상상인/ 판형 규격외 변형/값 13,000원)을 출간했다.
‘시 에세이’라는 독특한 장르로 펴낸 이 책에 실린 글들은 시인의 시론이기도하고, 시적 사유, 그만의 시의 궤적이기도 하다.
시인은 “시를 단순하게 말하는 일이 잔인할 수 있다” 하면서도 “시는 시이다”라고 잘라 말한다. 같은 맥락에서 “언어와 사물은 하나다”라고 말하고, 사물과 하나인 언어는 ‘온갖’이며 ‘모든’을 드러내는 능력이므로, 언어의 그 능력이 시인즉슨 세계를 확장하고 심화한다고 말한다.
시인은 또한 시인이 1960년대에 시도한 전위시의 현상이 “오늘의 시에서 거의 똑같이 되풀이되고 있다”고 평가됨을 치키면서, 한 번 더 하는 시도로써 ‘서정적 전위성을 확보한, 사유가 있는 큰 시’를 쓰겠다 토로하고 있다.
여기서 우리가 주목하는 것은, 사유가 있는 큰 시의 주제로서 사람의 언어, 사람의 시작과 끝, 사람의 지금과 여기, 사람의 터인 대지, 사람으로서 산 자의 죽음, 죽은 자의 주검과 그다음, 사람의 구원, 신, 등을 제시한 것이고, 시집 《시작하는 빛》 이후에 쓰는 시로써 실현하겠다 한 것이다.
또한 주목하는 다른 하나는 이 책에 예시되어 있는 시인의 시법이다.
“사물인즉슨 언어는 모든 낱이자 온갖 낱들의 원형과 실체를 드러내면서, ‘모든’이자 ‘온갖’인 세계의 실상을 드러내는 것이다.”
“언어를 천진한 자유와 그렇게 자유로운 능력으로서 말할 수 있는 것이 시다. 언어의 천진함을 말하면서는 아울러서 시이므로 자유로운 언어의 능력을 말할 수 있다.”
“나는 ‘정직한 언어’를 말하고, 정직한 언어인즉슨 시도하고 진실하며 가독성을 확보한 언어라고 말한다.”
“언어는 기어이 정직한 말을 정직하게 말하는 정직한 형식을 이룬다. 시는 기어이 정직한 말을 정직하게 말하는 정직한 형식, 그것이다.”
황현상의 서평-
황현산은 서평에서 “위선환은 그 시적 발상법에서도 그 필법에서도 고전적이다. 생각은 그 표현 형식을 다듬는 가운데 깊어지고, 얼개를 짓는 말들은 그 말과 함께 발견되었거나 발전하는 생각으로 그 세부가 충전된다. 말해야 할 것을 말이 결정짓고, 말의 편에서는 말해야 할 것의 힘으로 충만한 존재감을 얻는 필연적 계기가 그때 일어선다.
위선환은 질서가, 또는 질서의 허상이 보일 때마다 그것을 끌고 저열한 중력의 자리로 내려와 그 앞뒤를 살피고 그 위아래를 두드리고, 힘이 다 할 때까지 학대하여, 질서가 질서인 것을 고백하게 한다. 그래서 위선환이 질서를 내다볼 때 그것은 명백하게 질서이다. 하늘이 파랗다고 말할 때 하늘은 파라며, 별똥별이 떨어진다고 말할 때 별똥별은 떨어진다.”라고 평가했다.
본문 중에서
“기필코 언어인 어느 언어를 생각한다. 세계가 세계의 힘으로 중력의 중심에 내장한 어느 언어를, 언어가 언어의 비의로 언어의 깊이에 갈무리한 어느 언어를, 드디어 떨므로 떨리는 목소리가 되고, 첫 발성이 되고, 상형한 문자가 되고, 묵시이자 계시이며 의미가 되면서, 사람을 사람이라 일컫고, 또한 사람으로 부르고 대답하는 어느 언어를 생각하고, 그러한 언어의 생성과 조응과 연상과 전이와 확장과 심화와 지속을 생각한다. 그러하게 현시함으로써 세계의 전부이며 전체가 된 어느 언어는 마침내 세계와 일체로 사람을 말함으로써, 말미암아 세계와 사람을 하나로 꿰는 축이므로, 마침내 유일하고 견고하며 완강할 것이고, 결정적으로 단호할 것이다. 단호하므로 확고한 어느 언어를 생각한다.(- 본문 중에서)”
위선환 시인은 1960년에 서정주, 박두진이 선選한 용아문학상으로 등단했다. 1970년부터 이후 30년간 시를 끊었고, 1999년부터 다시 시를 써 오고 있다.
시집으로 《나무들이 강을 건너갔다》(2001, 현대시) 《눈 덮인 하늘에서 넘어지다》(2003, 현대시) 새떼를 베끼다》(2007, 문학과지성사) 《두근거리다》(2010, 문학과지성사) 《탐진강》(2013, 문예중앙) 《수평을 가리키다》(2014, 문학과지성사) 《시작하는 빛》(2019, 문학과지성사) 합본시집 《나무 뒤에 기대면 어두워진다》(2019, 달아실출판사) 등 여러 시집을 냈다.
현대시작품상, 현대시학작품상, 이상화시인상을 받았다.
'장흥문화소식 > 2022 장흥문화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흥문화소식] 기행 가사문학 효시 '관서별곡', 붓끝에서 춤추다 (0) | 2022.08.10 |
---|---|
[장흥문화소식] 장흥 물축제서 ‘제2회 손석우 가요제’ 열려 (0) | 2022.08.10 |
[장흥문화소식] 장흥출신 배홍배 시인 ‘라르게토를 위하여’ 시집 출간 (0) | 2022.07.05 |
[장흥문화소식] 서예가 이정호, 시인으로 등단 (0) | 2022.07.05 |
[장흥문화소식] 박혜경 공예가 전통부문 지승 망건통 우수상 (0) | 2022.07.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