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후기]장흥문화 45호 발간
○ 지역의 종합문화지로서 문화적 자료를 발굴 보존하는 한편 군민의 정서적 욕구를 충족시키고 장흥문화를 널리 홍보하여 문화가족의 저 변 확대에 기여하고자 함
|화 보| 2023년 장흥문화원의 행사
|발간사| 김명환_문화·관광 르네상스의 시대에 즈음하여
|축간사| 김 성_군민에게 위로와 자존감이 되는 문화지
|축간사| 왕윤채_장흥 문화에 대한 새로운 탐구
▣ 기획특집1 장흥학논단
정유년 조선의 영웅 마하수(馬河秀) : 김선욱
의병장 풍암 문위세 선생과 사군대(思君臺) : 문병길
오남 김한섭의 가계와 생애 : 김준옥
장흥 출신 음악가 최옥삼이 작곡한 「사도성의 이야기」에 대한 연구 : 최진
▣ 기획특집2 장흥학 문헌과 현장
조선 전기 장흥도호부 자기소·도기소 탐색 : 성윤길
헌헌헌 김여중의 천관산 유람기[遊天冠山記] : 김규정
장천재(長川齋) : 위무량
사복재 송진봉선생이 면암 최익현선생에게 보낸 편지 : 이병혁
▣ 제13회 한국문학특구포럼
송기숙 소설과 민중문학의 전통 : 염무웅
장흥고싸움줄당기기의 전승방향 학술대회
장흥 고싸움 줄당기기의 특징과 가치 : 이경엽
장흥 고싸움 줄당기기의 연행과 전승 : 이옥희
장흥 고싸움 줄당기기 자료와 기록화의 의미 : 김희태
미래무형유산으로서 장흥 고싸움 줄당기기의 방향 모색 : 허용호
토론 : 박원모, 고대영, 양기수, 문병길
자료 : 고줄 제작 과정 - 양기수, 김희태, 김상찬
▣ 장흥군민 문화예술강좌
장흥 동학 대전쟁(長興 東學 大戰爭)과 그 역사적 의의 : 박맹수
장흥 독학 해원상생굿 제문(祭文) : 이동철
장흥 동학 해원상생굿 : 김정희
▣ 새 문화재
장흥 척사윤음비 / 장흥도호부사 기념비 /
장흥 벽사역찰방 기념비 / 장흥 고싸움줄당기기 /
농가집성 / 경주이씨 이세충효문 /
위계룡 초상과 감실 / 옥퉁소 / 철퉁소
▣ 문예 산책
시 : 강상구, 김성신, 김인중, 김재창, 김준종, 김황흠, 문정배, 문정영,
박대문, 백남선, 박순길, 위형윤, 이금호, 이성관, 이호연, 장승진, 조계춘
시조 : 김병렬, 유헌, 이상진
수필 : 고병균, 김기홍, 김명환, 김복실, 김정렬, 김창석, 유용수, 위선환
▣ 장흥문예백일장
▣ 그림그리기대회
▣ 사업보고
군민, 문화가족과 함께 했던 문화사업
2023 언론속에 비춰진 장흥문화원 활동
▣ 안내
장흥문화원에서 소중한 향토자료를 수집합니다
장흥문화원에서 소중한 원고를 기다립니다
편집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