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후기]장흥지역 근현대 생활문화역사(사진) 기록사업
○ 1980년 이전 장흥지역의 역사와 문화가 스며 있는 다양한 근·현대 사진을 조사하여
도록으로 제작, 기록으로 남기고자 함
○ 수집방법 : 기록활동가(조사자)가 관공서, 마을 방문하여 수집
- 가정방문을 통하여 주민과 면담 후 현장에서 스캔 후 원본은 반환
○ 수집대상 : 장흥의 역사와 문화가 살아 숨쉬는 다양한 근현대 사진
- 마을 : 1980년 이전 자연경관, 건축물, 문화유적지, 별신제,
농악, 상여, 모내기, 회갑 등 생활 사진
- 학교 : 학교 전경, 입학, 운동회, 졸업, 조회 및 회의 사진 등
- 관공서 : 관공서 전경, 회의, 취임 또는 퇴임 사진 등
- 기타 옛날 사진으로 보존 가치가 있는 사진
○ 결과물 : 『사진으로 보는 장흥(1900-2000)』 발간
○ 목차
<제1부 우리들의 초상>
1. 세상에 태어나서(백일, 돌)
2. 마을마다 개구쟁이는 있고(어린 시절)
3. 배우고 익히며(학교)
4. 우리들의 청춘
5. 신랑신부 맞절(결혼)
6. 잘 살아보세(중년)
7. 오래 살았네(잔치)
8. 그리운 얼굴(가족)
9. 꽃상여 타고(장례)
<제2부 그땐 그랬지>
1. 마을
2. 여가
3. 모임
4. 민속
5. 유적
6. 종교
7. 이모저모
1930년대 일제강점기 계산초등학교 - 김순애(부산면)
1950년대 안양면 여암마을, 백씨집안사람들 - 안행순(안양면)
1954년, 남삼공원 친구들과 - 김재열(장흥읍)
1956년 용산면 청전마을앞길, 조부님 초상나가는 날 - 고영찬(용산면)
1960년대 아들 문주련 돌때 시부 시모 - 신정순(유치면)
1960년대 부산면지동마을 부친환갑 - 임사순(강진군옴천면)
1965년 장흥읍건산리-김귀자 결혼 -문평섭(유치면)
1979년 남산공원-문형남(장흥읍)
1980년대 장평면풍낙골 논 나락 훝다가 - 문장호(장평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