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으로 보는 장흥100년사(105p~111p)
4. 삶의 현장, 문화와 신앙과 활동상/문화
●1946년 보림사 대웅전, 좌축에 꼽아져 있는 나무기둥과 창성탑비에 새겨진 나라에서 원표 대덕에게 하사한 신역 표시의 장생 표주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전하며 대웅전 뒷편에 명부전의 일부가 보인다.
●1965년 대적광전과 삼층석탑 2기, 석등
●1946년경 석탑.석등
●장흥향교
향교는 조선시대의 지방관립교육기관으로 장흥향교는 조선초기에 건립한 뒤로 한번도 자리를 바꾸지 않았다고 한다.
●장흥향교, 군 유도회 주최. 윤리대강연회(1984.5.15)
●제1회 경로노인위안회(1985.9.23)
●동학 천도교는 외래종교가 아니고 우리 민족의 정신지주이기에 일제는 더욱 탄압을 가중했다.갑오동학혁명혈사에 얽힌 빼놓을 수 없는 반세기 악몽속에서 공을 남기고 가신 선대들의 흔적 장흥천도교당 모습이다. 지금은 초라한 상태로 쓰러져 가는 모습이다.
●1916. 8. 26 장흥읍 교촌리 32번지에 신축(계수나 신축이 아쉽다)
●장흥천주교공소 교유들 소풍.1960년 장흥공원, 아일랜드인 파흐린 신부, 서석보(서원봉 부), 곽동흠(곽남규 부), 김길곤, 엄회장, 박근홍, 박귀용, 민경찬, 허영기
●당시 식장으로 장흥읍교회 예배당을 많이 이용했다(1948년)
●장흥교회 주일학생들, 신상예배 기념(1950. 5. 28 부산 부춘정 앞)
제1회 보림문화제-군민축제(1970.4.19) 모든 군민이 참여해 시가행진을 하고 보름 줄다리기(고싸움), 강강술래, 농악놀이 등 각종 민속행사와 체육행사가 곁들여진다. 지금은 격년제로 한번은 실내행사로 군민의 날 기념행사로만 치루어 진다.
●농악
●시가행진
●행사전경(예양강변)
●강강술래
●고싸움(보름 줄다리기)
●전일그라프(전남일보 발행 화보집)에 실린 보림문화제 행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