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145

[공지] 제18회 정남진 장흥물축제 장흥 POP 콘서트 접수 ▢ 참가대상 : 장흥군 문화예술단체 (공연예술) ▢ 신청기간 : 2025. 7. 7(월) 09:00 ~ 2025. 7. 11(금) 17:00 까지 - 선착순 10개 단체 신청기간 이전에 제출한 신청서는 무효 처리되오니 꼭 신청기간 내에 접수해 주시기 바랍니다. ▢ 제 출 처 : 장흥문화원 사무국 (방문제출, 이메일, 팩스 중 택1) · 주소 : 장흥읍 읍성로 96, 문화예술회관 3층 · 이메일 : jhculture96@daum.net · 팩스 : 061-863-6362 ▢ 공연일정 : 2025년 7월 28일 월요일 19:00 ~ 21:00 ▢ 사업목적 다양한 장르의 공연예술을 즐기고 활동하고 있.. 2025. 7. 3.
[언론보도] 독자기고 - 심장을 부여잡고 띄우는 이재명 대통령님 전 상서 김명환(장흥문화원장 / 전 전라남도 교육위 부의장) 4년 전, 당시 대선 후보였던 이재명 대통령과 장흥토요시장을 함께 거닐며 담소했던 인연이 있는 나도 벅찬 감동으로 심장이 쿵쾅거린다.대통령은 중학교 진학을 포기할 정도로 ‘흙수저’도 아닌 무(無)수저였던 가정환경 때문에 소년공으로 생활하면서도 주경야독으로 대학에 진학한 후 변호사가 되었다.정치에 입문해서는 성공한 지자체장이 되었지만, 대권가도에서는 윤석열 정부의 온갖 사법적인 핍박을 견뎌냈다.김대중 대통령과 노무현 대통령에 비견하는 언론의 약삭빠른 명비어천가를 굳이 빌리지 않더라도, 대통령의 인생역정은 모두에게 감동과 경이로움으로 다가온다. 대통령의 당선으로 내 삶터 탐진강은 용오름을 시작했고 내 고향 천관산은 더덩실 춤을 추고 있다.단지 내가 대통령.. 2025. 6. 18.
[장흥문화소식] 노벨문학상 기념, 장흥문학기행 교원연수 열려 문학과 역사를 품은 공간, 장흥에서 교육적 의미를 찾아장흥교육지원청(교육장 정행중)이 5월 30일 장흥 일대에서 ‘장흥역사문학기행 연수’를 열고,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한강 작가의 문학정신과 지역 문학자원을 교육과정에 접목하는 방안을 탐색했다.이번 연수는 전국 유일의 문학특구 장흥에서 열렸으며, 한강 작가의 문학적 정서가 맞닿아 있는 이 지역의 역사와 문학을 교사들이 직접 체험하며, 문학‧역사‧교육의 통합적 실천 가능성을 모색하는 자리로 마련했다.연수에는 장흥지역 초‧중‧고 교원 45명이 참여해, 천도교장흥교당을 시작으로 장흥동학농민혁명기념관, 가슴앓이섬(가스마리섬), 장흥독립자금헌성기념탑, 한승원과 이청준 생가 등 문학과 역사가 공존하는 장소를 순회하며 교육적 의미를 되새겼다.장흥은 한강 작가의 부친인 .. 2025. 6. 10.
[언론보도] 장흥경찰서, 5월 청소년의 달 맞아 우수 대상자에게 포상 수여 장흥경찰서(서장 박흥원)는 30일 청소년의 달을 맞아 모범이 되는 청소년 · 일반인에게 각각 전남청장 표창 및 감사장을 수여하였다. 이번 행사는 청소년의 달을 맞아 평소 근면ㆍ성실하게 생활하는 청소년과 선도 · 보호에 유공이 있는 일반인에게 포상을 줌으로써 사기를 진작시키고 청소년 육성에 더욱 관심을 갖게 하도록 마련되었다. 표창은 꾸준한 노력으로 검정고시에 합격하고, 여러 자격증을 취득한 ‘장흥군학교밖지원센터’ 소속 김초은 양이 받았고, 감사장은 백일장이나 그림 그리기 대회를 통해 청소년들의 예절과 인성을 가르친 장흥문화원 소속 김미옥 과장이 받았다. 박흥원 장흥경찰서장은 “관내 청소년들이 건강하게 자랄 수 있도록 어른들의 지속적인 도움이 필요하며, 이번 포상을 계기로 많은 사람이 청소년들에게 아낌없는.. 2025. 6. 9.
[사업후기] 2025년 문림의향 장흥향교 청소년 문화체험 ○ 일 시 : 2025년 5월 20일 ~6월 5일 (총 8회)○ 장 소 : 장흥향교, 해동사, 보림사, 동백정, 장흥댐○ 대 상 : 장흥 관내 중학교 1학년 학생 순서학교-반날짜학생수1장흥중학교 1-35월 20일(화)232장흥중학교 1-25월 21일(수)263장흥중학교 1-15월 22일(목)284향원중학교 1-15월 23일(금)265향원중학교 1-25월 27일(화)246관산중학교 안양중학교 5월 28일(수)18 97향원중학교 1-35월 29일(목)278회덕중학교관산남초등학교6월 5일(목)1013합 계204 ○ 교육 하루일정표 08:30 ~ 09:10 각 학교 버스출발 09:10 ~ 09:30 장흥향교(長興鄕校)도착, 향교 소개 09:30 ~ 09:40 개회식 : 명륜당 내 09:40 ~ 10:.. 2025. 6. 9.
[보고] 2024년도 장흥문화원 주요 사업실적 2024년도 장흥문화원 사업실적 총괄(단위:천원)사업구분 사 업 명사 업 내 용사업추진사업금액민간경상보조 1ㆍ제7차 의향 장흥 역사자원발굴조사조선시대 학당인 관수재 자원조사사업완료8,0002ㆍ장흥문화 제46호 발간「장흥문화」 제46호로 매년 발행하는 장흥문화원보사업완료 18,0003ㆍ제34회 문화가족 유적지순례문화원 회원 전원이 참여하는 문화유적지 순례사업완료30,0004ㆍ제26회 장흥문예백일장 및 제22회 그림그리기대회청소년과 어린이 대상 문예백일장 및 그림그리기 대회사업완료10,0005ㆍ제8차 고문집 국역사업장흥출신 문인들의 고문집 보존 및 국역사업사업완료25,0006  ㆍ제14회 장흥문화 속살읽기 대외협력기관단체 외지 출신 임직원 대상 관내 문화유적지 탐방사업완료3,0007ㆍ장흥 부산면지 발간(2년.. 2025. 6. 5.
[언론보도] 장흥군 부산면지 발간 자료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장흥문화원은 부산면지를 발간하기 위하여 부산면의 생활사 및 사료 등 삶의 흔적과 전통 등을 정리, 기록으로 남기기 위해 각종 자료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취합된 자료에 대하여 마을편과 총설편으로 나누어 작성 및 편집하고 있으며 이번에 누락되면 20~30년후에나 다시 발간할 수 있어 내실있는 부산면지가 발간될 수 있도록 부산면민과 출향인의 관심과 협조를 부탁드립니다. ■ 수집내용-부산면의 역사와 관련된 서지(書識) - 문집, 기록, 옛날 자료 등-부산면의 구전 이야기 - 전설과 설화, 민요, 미담, 선행, 민속놀이 등 (장흥군지 마을유래지 등 기 발간물에 수록되지 않은 자료)-부산면의 인물 - 한 분야에서 업적이 뚜렷한 인물 자료(객관적 근거제시)-부산면 관련 사진 - 세시풍속, 민속놀이, 관혼상.. 2025. 5. 26.
[언론보도] 특별기고 - 뜨거운 그이름, 어머니 김명환 장흥문화원장 / 전 전라남도 교육위 부의장이세상에 나와 또래인 사람이라면 누구나 그렇겠지만, 나 역시 ‘어머니’라는 말만 들어도 가슴 깊은 곳에서 뜨거움이 올라오고, 그리움에 왈칵 목이 메인다. 지금은 하늘에 계신 어머니는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 그리고 보릿고개로 대변되는 절대빈곤의 세월을 나를 들쳐 업고 건너오셨다.이 세상에 태어난 나는 ‘어머니’라는 이름 석 자를 의지하며, 지독했던 그 시절을 살아냈다. 어머니가 겪으신 고생은 말이나 글로 다 표현할 수 없다. 그래서일까. 남진 씨의 노래 가 내 가슴을 두드리고, 태진아 씨의 첫 소절, “앞산 노을 질 때까지 호미자루 벗을 삼아”만 들어도 눈물이 솟구친다.‘어머니’는 눈물과 함께 따라오는 단어다. 세 번만 외쳐도 눈물이 나는 이름, 어머니 말.. 2025. 5. 15.
[장흥문화소식] 수제전통기와로 새옷 입은 “종묘 정전” 장흥 안양면 전통제와장서 수제전통기와 6만여장 제작국가무형유산 김창대 제와장과 전승자, 전통기와 맥 이어가 장흥군은 국보인 ‘종묘 정전’ 보수공사에 사용된 전통기와 전량이 장흥 안양면 전통제와장에서 제작되었다고 전했다.종묘 정전 보수(2021년~2025년)에 사용된 기와는 총 6만여장으로 국가무형유산 김창대 제와장과 전승자들의 손끝에서 만들어졌다.종묘 정전 보수용 수제전통기와에 사용된 기와토는 장흥 지역 흙을 중심으로 전국 5가지 흙을 채취, 혼합하여 만들어졌다.기와는 암키와 성형, 수키와 성형, 암막새 등 장식기와 제작 등의 과정을 거쳤으며, 기와가마에서 소나무를 이용하여 36시간 동안 1000~1100도로 구워 완성되었다.현재 장흥군 안양면 전통제와장 제작공방에서는 조선시대 국가 최고의 제례공간인.. 2025. 4. 30.
[사업후기] 제58회 장흥문화원 정기총회(定期總會) 2024년도 사업을 결산하고 2025년도 사업계획을 수립하는 장흥문화원 정기총회 ◈ 일시 : 2025년 4월 23일(수) 오전 10시 30분◈ 장소 : 장흥군민회관 3층 대회의실 ◈ 정기총회 추진일정 1) 2025. 3. 5(수) ~ 3. 6(목) 감사 / 장흥문화원 회의실 2) 2025. 3. 13(목) 이사회의 / 장흥문화원 회의실 3) 2025. 3. 20(목) 운영위원회의 / 장흥문화예술회관 소공연장 4) 2025. 4. 23(수) 제58회 정기총회 / 장흥군민회관 대회의실 ◈ 제1부 : 기념식, 인사말, 축사, 표창장 수여 등 - 전라남도지사상 : 고연두 용산면지회장, 양기수 향토사분과이사, 마동욱 장흥읍 회원 - 전라남도교육감상 : 김성수 기획분과 운영위원, 이원택 .. 2025. 4. 28.
[사업후기] 제15회 장흥문화 속살읽기 관내 기관단체에 외지에서 부임하여 재직하는 임직원, 교사 등을 대상으로 장흥 문화의 속살을 탐방하는 프로그램 ○ 일 시 : 2025. 04. 10(목) 13:30 ~ ○ 탐방주제 : 노벨문학도시 장흥, 남파랑길 따라○ 탐방장소 : 해동사 - 해창 군영구미 전적지 - 한승원 문학산책길 - 소등섬(남포마을) - 장흥126타워(정남진전망대) - 용산 남상천 벚꽃길 ○ 참여기관 : 광주지방법원장흥지원, 장흥소방서, 장흥군버섯산업연구원, 장흥교육지원청, 전라남도교육청장흥도서관, 장흥고등학교, 용산중학교, 장흥초등학교, 장흥서초등학교, 장흥남초등학교, 관산남초등학교, 회진초등학교, 용산초등학교 ▶ 해동사 ◀ ▶ 해장 군영구미 전적지 ◀ ▶ 한승원 문학산책길 ◀ ▶ 소등섬(남포마을) ◀.. 2025. 4. 21.
[사업후기] 장흥군 부산면 용두‧내동마을 정월대보름 당산제 및 달집태우기 ■ 2025 세시풍속 및 마을문화 지원사업 (공모사업)■ 사업명 : 장흥군 부산면 용두‧내동마을 정월대보름 당산제 및 달집태우기■ 주최 : 전라남도■ 주관 : 전남문화원연합회‧장흥문화원■ 사업목적 : 고령화, 인구감소 등으로 지역공동체 의식이 사라져 가고 있어 선조들의 고유 전통 문화를 보존하고, 마을의 풍요와 평안을 기원하는 등 지역 공동체 의례 계승 발전 ■ 일시 : 2025. 2. 11(화) ■ 장소 : 장흥군 부산면 용두마을 및 내동마을■ 내용 - 세시풍속 및 마을문화강좌 - 당산제 봉행 및 달집태우기, 풍물 공연 ■ 부산면 용두마을 ■ 부산면 내동마을 2025. 4. 21.
[공지] 2025년 제58회 장흥문화원 정기총회(定期總會) 장흥문화원 정관 제22조(구분 및 소집) 제4항에 의거 2025년도 제58회 정기총회를 개최하오니 바쁘시더라도 원활한 행사가 진행되도록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일시 : 2025년 4월 23일 (수) 오전 10시 ~○ 장소 : 장흥군민회관 3층 대회의실 ○ 안건  - 2024년도 사업실적 및 결산 승인 건  - 2025년도 사업계획 및 예산 승인 건  - 장흥문화원 임원(감사) 선출 건  - 2025년 문화가족 유적지순례(자체세미나) 사업을   → 2025년 문화가족 한마음 어울마당으로 변경 건 등. ○ 기타사항  - 부득이한 사정으로 총회에 참석하지 못하지는 회원은 총회에서 결정된 사항 일체를 동의하는 것으로 처리하겠습니다.(사무실 전화 061-863-6362) ※ 원활한 문화원 운영을 위하여 미.. 2025. 4. 4.
[장흥문화소식] 이대흠 시인, ‘동그라미’ 발간... 신화적 상상력으로 5.18 작품화 장흥출신 이대흠 시인의 시집 『동그라미』가 ‘문학들 시집선 001’번으로 나왔다.이 시리즈는 기존에 절판된 시집 가운데 주목할 만한 시집을 다시 펴내는 복간본 성격을 띤다. 이번 시집은 시인의 제2시집 『상처가 나를 살린다』(2001)와 제3시집 『물속의 불』(2007)에서 골라 엮었다.이대흠은 1994년 『창작과비평』에 「제암산을 본다」 외 6편의 시를 발표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첫 시집 『눈물 속에는 고래가 산다』를 통해 우리 시단에서 보기 드문 남성적 톤으로 주목을 받았으며 이후 전라도 입말의 특장, 남도만의 유장한 가락을 살린 빼어난 서정시로 많은 이의 사랑을 받았다. 그가 육사시문학상, 현대시동인상, 애지문학상, 조태일문학상, 천상병문학상 등을 수상한 바탕이기도 하다.이번 시집은 첫 시집 .. 2025. 4. 2.
[발간] 남파랑길 역사문화자원 순례(78~80코스, 장흥군) (2025) Ⅰ. 머리말 Ⅱ. 남파랑길 개요  1. 남파랑길 78코스  2. 남파랑길 79코스  3. 남파랑길 80코스 Ⅲ. 장흥군의 역사와 문화  1. 장흥의 선사시대와 역사시대 Ⅳ. 남파랑길 순례길(78~80코스) 역사문화자원  1. 78코스 남파랑길 순례길 역사문화자원    (1) 안양면 구간        1) 안양면 용곡·수문리        2) 안양면 수락리        3) 안양면 신촌리        4) 안양면 장수리        5) 안양면 학송리        6) 안양면 사촌리         7) 안양면 해창리        8) 안양면 지천리(지천포)    (2) 용산면 구간        1) 용산면 덕암(德巖)마을        2) 용산면 원등(院嶝)마을        3) 용산면 금곡(金谷)마을  .. 2025. 3. 18.
[발간] 다암유고(茶嵒遺稿) (2024) 저자 : 위영복(魏榮馥, 1832~1884)  위영복은 조선 순조 32년에 전남 장흥 방촌(傍村)에서 아버지 위도천(魏道天)과 어머니 인천 이씨(仁川李氏)의 맏아들로 태어나 자(字)를 방서(芳瑞), 호(號)를 다암(茶嵒)이라 하였다. 3세에 어머니를 여의고 계모 광산 김씨(光山金氏)에게 양육되었다.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선비의 기품이 있었으며 조부 해의재(奚疑齋)의 가학(家學)을 배워 수차 향천(鄕薦)을 받았다.  중년 이후 과거를 포기하고 4종조 존재(存齋) 위백규(魏伯珪)의 학덕을 추모하여 장흥 위씨 집안의 장천재(長川齋)를 공자형(工字形)으로 중축하고 산일 직전에 있던 《존재집(存齋集)》을 고산(鼓山) 임헌회(任憲晦)의 서문과 교정을 받아 간행 배포하였으며 《환영지(寰瀛誌)》에 발문을 붙여 간행하였다.. 2025. 3. 18.
[발간] 학성(鶴城) (2024) Ⅰ. 머리말Ⅱ. 장흥군(長興郡)의 위치(位置)와 자연환경(自然環境)Ⅲ. 고고학적(考古學的) 역사적(歷史的) 환경(環境)Ⅳ. 장흥(長興)의 역사(歷史)와 성(城)의 축조(築造)Ⅴ. 학성(鶴城)에 대한 기존(旣存)의 이해(理解)Ⅵ. 학성(鶴城)의 형태(形態)와 축성법(築城法)Ⅶ. 학성(鶴城)의 성곽 현상(城郭現狀) Ⅷ. 학성(鶴城)과 억불산 봉수(億佛山 烽燧) Ⅸ. 수습유물(收拾遺物)Ⅹ. 종합적 고찰(綜合的 考察)Ⅺ. 앞으로 학성 관리(鶴城 管理)에 대한 의견(意見)Ⅻ. 억불산(億佛山) 관련 시문(詩文) 2025. 3. 18.
[발간] 관수재(觀修齋) (2024) 觀修齋八詠 관수재 팔영次觀修齋八詠 관수재 팔영에 따라 짓다金丹歲晩無消息 금단은 늙도록 소식이 없다奉呈金華旅丈 금화 추려장에게 받들어 올린다金華西齋陪諸丈老 금화 서재에서 여러 장로를 모시고晩翠亭韻二首 만취정공 원운 2수晩翠翁稿 만취옹 초고 2수謹次金谷晩翠亭韻 二首 삼가 금곡 만취정공 시에 차운하다 2수題晩翠亭 二首 만취정공 시에 차운해 쓰다 2수次晩翠亭韻 만취정 시에 따라 짓다次金敬菴漢禧草堂花塢韻 김경암 한희 초당 꽃동산 시에 차운하다金谷齋懷秋旅西崗金元龍二老兼贈德中金元華 금곡서재에서 추려 김대원과 서강 김원용 두 노인을 회고하다 겸하여 덕중 김원화에게 주다觀修齋與金止雲因作合幷韻 관수재에서 김지운과 어우러진 운으로 시를 짓다長句奉呈松史老兄 장구로 송사 노형에게 받들어 올린다觀修齋小會 관수재 작은 모임遊觀修齋.. 2025. 3. 18.
[장흥문화소식] 장흥 출신 고병균 수필가 '세상에 이런 일이' 수필집 발간 수필 초보자를 위한 글쓰기 교재로도 가능한 책   장흥 출신 고병균 수필가가 동산문학사 추천 문학도서로 ‘세상에 이런 일이’라는 수필집을 발간했다.이 책에는 제1부 ‘나에게도 이런 일이’에 수필 7편, 제2부 ‘나의 생일’에 수필 12편, 제3부 ‘아내는 MVP’에 수필 8편, 제4부 ‘내 인생의 미아리 고개’에 수필 7편, 제5부 ‘나의 어머니’에 수필 9편 등의 작품이 수록되어 있다.특히 제1부에는 저자가 수필가로 등단한 작품과 그 심사평을 수록하였는데, 심사위원은 ‘문학적 장치’가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저자는 그 ‘문학적 장치’가 무엇인지 찾기 위해 노력해온 흔적이 있다.저자는 수필의 구성, 서두 본문 결미 들을 명확하게 구분하고, 수필 문장의 특징, 평이한 문장 소박한 문장 간결한 문장 등을 .. 2025. 3. 18.
[발간] 유치면지 (2024) - 총 설 편 -제1장 자연환경  자연환경 _ 자원과 산업 _ 인구와 취락제2장 유치면이 걸어온 길과 흔적  개요 _ 선사시대~대한제국 _ 일제강점기 _ 정부수립 후~현대제3장 역사의 큰 흐름  가지산문의 성립과 발전 _ 호국충절의 기상과 유치 _ 동학농민혁명과 유치 _ 항일의병전쟁과 유치 _ 일제강점기의 유치 _ 해방과 동족상잔기의 유치 _ 장흥댐 건설과 그 이후제4장 우리 고장을 이끌어 온 기관  행정 기관 _ 통신·우편과 금융 _ 유치의 치안과 방위 _ 유치의 배움터 _ 유치의 사회단체 _ 한국수자원공사 전남서남권지사제5장 내일을 꿈꾸며 가꾸어 온 현장  지역개발 _ 산업 및 소득개발제6장 달라져가는 생활  사회복지 _ 유치면의 사회복지 현황제7장 우리들의 삶과 믿음  유치사람들의 평생의례 _ 유치.. 2025. 3.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