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장흥문화와역사58

[전남유형문화재 제72호] 장흥 장천재 장흥 장천재 (長興 長川齋) 종 목 전남유형문화재 제72호 명 칭 장흥 장천재 (長興 長川齋) 분 류 자연유산/천연기념물/생물과학기념물/생물상 수량/면적 2,195㎡ 지정(등록)일 2011-08-26 시 대 미분류 1978년 9월 22일 전라남도유형문화재 제72호로 지정되었다. 본래 이 자리에는 장천암이라는 절이 있었다고 한다. 조선 중종 때 강릉참봉 위보현이 장천동에 어머니를 위해 묘각을 짓고 장천암의 승려로 하여금 이를 지키게 한 것이 그 유래가 되었다. 1659년(효종 10) 사찰을 철거하고 재실을 창건하였으며 1705년(숙종 31), 1724년(영조 23) 개수를 거쳐 1873년(고종 10) 현재의 형태로 중수하였다. 평면은 ㄷ자형이며 전면은 양쪽 날개 1칸씩을 누각형으로 한 것이 특징이다. 장대.. 2018. 3. 20.
[시도지정 유형문화재 제 55호] 장흥 사인정 장흥사인정 (長興舍人亭) 종 목 시도유형문화재 제55호 명 칭 장흥사인정 (長興舍人亭) 분 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조경건축/누정 수량/면적 1동 지정(등록)일 1974-12-26 시 대 미분류 설암 김필(1426∼1470)이 제자들을 가르치던 정자이다. 단종(재위 1452∼1455) 때 홍문관 부제학, 이조참판을 지낸 설암은 계유정란(1453) 후 벼슬을 버리고 장흥에 내려와 숨어살다가 정자를 짓고 후학들을 교육시켰다. 선생이 이곳에서 여생을 마치자 후손들은 그를 추모하기 위하여 ‘사인(舍人)’이란 벼슬이름을 따서 사인정이라 불렀다. 앞면 3칸·옆면 2칸 규모의 건물로, 지붕 옆면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집이다. 가운데에 온돌방을 두고 주위를 모두 마루로 둘렀다. 자료출처: http://www... 2018. 3. 20.
[시도지정 유형문화재 제 46호] 용화사약사여래좌상 용화사약사여래좌상 (龍華寺藥師如來坐像) 종 목 시도유형문화재 제46호 명 칭 용화사약사여래좌상 (龍華寺藥師如來坐像) 분 류 유물/불교조각/석조/불상 수량/면적 1구 지정(등록)일 1974-09-24 시 대 미분류 전라남도 장흥의 야산 계곡에 있는 불상으로 어느 개인이 지은 조그마한 암자에 모셔져 있다. 1매의 화강암 석재를 가공하여 불상과 광배(光背)를 하나의 돌에 만든 석불좌상이다. 머리 위에는 상투 모양의 머리묶음이 뚜렷하며, 갸름한 얼굴과 정제된 이목구비의 표현 등에서 세련된 느낌과 함께 부처의 위엄을 느낄 수 있다. 신체는 인체의 모습을 자연스럽게 묘사하여 통일신라 후기의 불상양식을 충실히 따르고 있다. 옷은 양 어깨를 감싸고 있으며, 옷주름이 도식적으로 표현되었다. 오른손은 어깨 높이로 올리고 .. 2018. 3. 20.
[시도지정 유형문화재 제 25호] 당포앞바다승첩지도 시도유형문화재 제25호당포앞바다승첩지도 (唐浦 앞바다 勝捷之圖) 분 류 유물/과학기술/천문지리기구/지리 수량/면적 1매 지정(등록)일 1972.01.29 소 재 지 전남 장흥군 승첩도란 전쟁에서 승리한 것을 기념하기 위해 그린 그림을 이른다. 이 승첩도는 선조 37년(1604) 임진왜란 때 왜적의 침공을 막아냈던 공신들에게 왕이 하사했던 그림이라고 전하고 있다. 임진왜란 당시 당포 앞바다에서 왜적과 싸워 승리하던 장면을 그린 것으로, 그림 제목에 ‘당포전양승첩지도’라고 전서체로 쓰여있고 그 앞에는 전열을 가다듬은 배들이 줄을 지어 배치되어 있다. 배에는 깃발을 달았는데 그 기세가 당당하여 전쟁에 승리했다는 것을 곧 알아볼 수 있게 묘사되었다. 배 아래로는 당시 군관들의 활동상황 등을 붓으로 적었으며, 군.. 2018. 3. 20.
[보물 제1252호 ]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권 9~10 종목 보물 제1252호 명칭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권9~10(詳校正本慈悲道場懺法 卷九∼十) 시대 조선 세조 8년(1462) 수량 2권 2책 분류 목판본/간경도감본 지정일 1997.06.12 소유자 보림사 소재지 전남 장흥군 문화재형태 선장 1.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권9 詳校正本慈悲道場懺法 卷九 - 상하단변(上下單邊), 광고(匡高) 26.0cm, 무계(無界), 전엽(全葉) 20행(行) 13자(字), 주쌍행(註雙行); 32.6cm×18.0cm 2.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권10 詳校正本慈悲道場懺法 卷十 - 상하단변(上下單邊),광고(匡高) 26.0cm, 무계(無界), 전엽(全葉) 20행(行) 13자(字), 주쌍행(註雙行); 32.6cm×18.0cm 자료 출처 ; http://www.heritage.go.kr/her.. 2018. 3. 20.
[보물 제 772-3호] 금강경삼가해 권1 보물 제772-3호 분 류 기록유산/전적류/활자본/금속활자본 수량/면적 1권 1책 지정(등록)일 2002.08.05 소 재 지 전남 장흥군 시 대 조선시대 소유자(소유단체) 보*** 관리자(관리단체) 보*** 금강경삼가해 권1(金剛經三家解 卷一)은 『금강경』에 대한 주석서 『금강경오가해』 중 송나라 야보(冶父)와 종경(宗鏡), 그리고 조선 전기의 고승인 기화(己和) 3인의 주석을 뽑아 한글로 번역한 것이다. 성종 13년(1482)에 세조의 비인 자성대왕대비의 명에 의하여 본문의 큰 글씨는 정축자(丁丑字)로, 풀이 부분의 중간 글씨와 작은 글씨는 을해자(乙亥字)로 찍어낸 활자본이다. 활자본은 글자를 하나하나 파서 고정된 틀에 끼워 찍어낸 것을 말하며, 정축년에 찍어낸 것을 정축자본, 을해년에 찍어낸 것을 .. 2018. 3. 19.
[보물 제 795호] 천관사 삼층석탑 종 목 보물 제795호 명 칭 장흥 천관사 삼층석탑 (長興 天冠寺 三層石塔) 분 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탑 수량/면적 1기 지정(등록일) 1984-11-30 시 대 고려시대 천관사는 신라 진흥왕 때 통령화상이 창건한 사찰로, 천관보살을 모셨다 하여 천관사라 하였다. 바닷가에 위치하여 왜구의 칩입을 여러차례 겪은 탓에 그 규모가 점차 축소되어 현재는 천관보살을 모셨던 법당만 남아있다. 법당에서 조금 떨어진 오른쪽에 자리잡고 있는 이 탑은 2단의 기단(基壇)위에 3층의 탑신(塔身)이 고려시대의 탑이다. 탑신을 받치고 있는 기단은 아래·위층 모두 모서리에 기둥 모양의 조각을 본떠 새겨두었다. 탑신은 각 층의 몸돌과 지붕돌을 각각 하나의 돌로 쌓아 올렸으며, 층마다 몸돌의 모서리에 기둥 형태의 조각을 두었.. 2018. 3. 15.
[천연기념물] 장흥 삼산리 후박나무 분  류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 생물과학기념물 / 생물상수량/면적3주/1,899㎡지정(등록)일2007.08.09소 재 지전남 장흥군 관산읍 삼산리 324-8번지 외소유자(소유단체)경주이씨 개산공파종중 외관리자(관리단체)장흥군 이 후박나무 군은 세 그루가 마치 한 그루처럼 서로 어우러져 있는 노거수들로서 전체 수형이 특이하고 아름다우며, 새 가지도 잘 자라 남부지방에 자라는 후박나무의 대표성을 갖고 있음. 산서(山西)마을 입구에 위치해 있는 이 나무는 1580년경 경주이씨 선조가 이곳에 들어올 때 동서남북에 나무를 심었는데 현재 남쪽에 심은 나무만 남아있다는 전설 등으로 볼 때 마을과 그 역사를 같이 해 온 당산나무로서 지금도 마을 주민들의 쉼터로 잘 이용되고 있어 민속·문화적 가치가 큼.    출처 :.. 2017. 11. 23.
국가민속문화재 제161호 / 장흥존재고택 (長興存齋古宅) 국가민속문화재 제161호 / 장흥존재고택 (長興存齋古宅) 전남 장흥군 관산읍 방촌길 91-32 (방촌리) 사진 / 마동욱 장흥 위씨의 종가집으로 마을 깊숙한 곳에 자리잡고 있으며, 주위의 경치가 아름다워 특히 여름철을 시원하게 보내기에 적당한 집이다. 바깥마당에는 연못이 있으며 집 뒤로 대나무숲이 우거져 있고, 그 앞에 안채가 높이 자리하고 있다. 맞은편으로 대문간이 있으며 안마당 북쪽에 헛간채가 있고, 남쪽으로 서재가 있다. 안채 동쪽에는 여러단의 계단을 올라서서 사당채가 있다.대문은 중심부에 대문간과 방이 있고 좌우에 헛간이 있다. 문간채의 우측에는 서재가 아주 작고 특이한 구조로 만들어져 있다. 지붕의 반쪽은 옆면이 여덟 팔(八)자인 팔작지붕이고, 안채와 접하는 쪽은 옆면이 사람 인(人)자 모양으로.. 2017. 11. 23.
[천연기념물] 장흥 옥당리 효자송 분  류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 문화역사기념물 / 기념수량/면적1주지정(등록)일1988.04.30소 재 지전남 장흥군 관산읍 옥당리 160-1번지소유자(소유단체)백***관리자(관리단체)장흥군 장흥 옥당리 효자송은 옥당리 마을 앞 농로 옆에서 자라고 있는 소나무로, 수령은 약 200여년(지정당시) 정도로 추정되며 높이는 12m, 가슴높이의 둘레가 4.50m이다. 마을에 내려오는 이야기에 의하면 150여년 전, 이곳에 효성이 지극한 세 청년이 살았는데 무더운 여름날 자신의 어머님이 노약하신 몸으로 밭일을 하는 모습을 보고는 그늘을 만들어 쉴 수 있게 하자고 결의하고 각각 소나무, 감나무, 소태나무를 심었다고 한다. 그러나 지금은 소나무만 남아 왕성하게 자라고 있다. 장흥 옥당리의 효자송은 200여년이라는 .. 2017. 11. 23.
[천연기념물] 장흥 어산리 푸조나무 분  류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 문화역사기념물 / 생활수량/면적1주지정(등록)일1982.11.09소 재 지전남 장흥군 용산면 어산리 289-2번지소유자(소유단체)건설부 외관리자(관리단체)장흥군 푸조나무는 느릅나무과의 키 큰 나무로 서해안을 따라 경기도에 걸쳐 따뜻한 지방의 하천과 마을 부근에 많이 자란다. 곰솔, 팽나무와 함께 소금기 섞인 바닷바람에 잘 견디기 때문에 바닷바람을 막아주는 방풍림에 적당하다. 팽나무와 비슷해서 곳에 따라서는 개팽나무, 개평나무 또는 검팽나무라 불리기도 한다. 장흥 용산면의 푸조나무는 나이가 약 400살(지정당시) 정도로 추정되며, 높이가 24m, 가슴높이의 둘레는 6.40m이다. 마을 앞 공터에서 자라고 있으며, 줄기에 굴곡이 많고 밑동은 울뚝불뚝 근육처럼 발달했다. 이 .. 2017. 11. 23.
[보물] 월인석보 권25 분  류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 관판본수량/면적1권 1책지정(등록)일1997.06.12소 재 지전남 장흥군 유치면 봉덕리 45번지 보림사시  대조선 세조 5년(1459)소유자(소유단체)보림사관리자(관리단체)보림사 『월인석보』는 『월인천강지곡』과 『석보상절』을 합하여 세조 4년(1459)에 편찬한 불교대장경이다. 석보는 석가모니불의 년보 즉 그의 일대기라는 뜻이다. 조선 세종 28년(1446) 소헌왕후 심씨가 죽자 세종은 그의 명복을 빌기 위해 아들인 수양대군(후의 세조)에게 명하여 불교서적을 참고하여 한글로 번역하여 편찬한 것이 곧 『석보상절』이다. 세종 29년(1447) 세종은 『석보상절』을 읽고 각각 2구절에 따라 찬가를 지었는데 이것이 곧 『월인천강지곡』이다. 『월인석보』는 완질이 현재 전.. 2017. 9. 1.
[보물]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 분  류기록유산 / 서각류 / 금석각류 / 비수량/면적1기지정(등록)일1963.01.21소 재 지전남 장흥군 유치면 봉덕리 산10-1번지 보림사시  대통일신라시대소유자(소유단체)보림사관리자(관리단체)보림사 보림사에 있는 보조선사의 탑비로, 거북받침돌 위에 비몸을 세우고 머릿돌을 얹은 모습이다. 보조선사(804~880)는 통일신라시대의 승려로, 어려서 출가하여 불경을 공부하였으며, 흥덕왕 2년(827)에 승려가 지켜야 할 계율을 받았다. 희강왕 2년(837) 중국으로 건너갔으나, 멀리서 구할 필요가 없음을 느끼고, 문성왕 2년(840)에 귀국하여 많은 승려들에게 선(禪)을 가르쳤다. 헌안왕 3년(859) 왕의 청으로 보림사의 주기가 되었으며, 77세의 나이로 입적하였다. 왕은 그의 시호를 '보조선사'라 하.. 2017. 9. 1.
[보물]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 분  류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수량/면적1기지정(등록)일1963.01.21소 재 지전남 장흥군 유치면 봉덕리 산10-1번지 보림사시  대통일신라시대소유자(소유단체)보림사관리자(관리단체)보림사 보림사에 세워져 있는 사리탑으로, 보조선사의 사리를 모셔두고 있다. 보조선사(804~880)는 어려서 출가하여 불경을 공부하였으며, 흥덕왕 2년(827)에 승려가 지켜야 할 계율을 받았다. 희강왕 2년(837) 중국으로 건너갔으나 문성왕 2년(840)에 귀국하여 많은 승려들에게 선(禪)을 가르쳤다. 헌안왕 3년(859)에 왕의 청으로 보림사의 주지가 되었으며, 77세의 나이로 입적하였다. 왕은 그의 시호를 '보조선사'라 하고, 탑 이름을 '창성'이라 내리었다. 탑은 바닥돌부터 지붕돌까지 모두 8각으로,.. 2017. 8. 29.
[보물] 장흥 보림사 서 승탑 분  류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수량/면적2기지정(등록)일1963.01.21소 재 지전남 장흥군 유치면 봉덕리 산50번지 보림사시  대고려시대소유자(소유단체)보림사관리자(관리단체)보림사 보림사의 서쪽에 있는 승탑 2기로, 보림사로 들어가는 입구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나란히 세워져 있다. 하나는, 전체적으로 8각의 평면을 이루고 있으며, 네모반듯한 바닥돌 위로 3단의 기단을 세우고 그 위에 탑신과 지붕돌을 얹은 모습이다. 기단은 아래받침돌에는 2겹의 연꽃무늬를 새기고, 두껍고 넓은 가운데받침돌은 모서리마다 구슬을 꿰어놓은 듯한 기둥을 조각해 놓아 독특한 모습이다. 윗받침돌은 아래받침돌과 그 크기와 넓이가 비슷하며, 8장의 연꽃잎을 새겨두었다. 탑신의 몸돌에는 한쪽 면에 문짝 모양을 새기고 그 .. 2017. 8. 28.
[보물] 장흥 보림사 동 승탑 분  류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수량/면적1기지정(등록)일1963.01.21소 재 지전남 장흥군 유치면 봉덕리 산10-1번지시  대통일신라시대소유자(소유단체)보림사관리자(관리단체)보림사 보림사는 통일신라시대 선종 9산 중 가장 먼저 만들어진 가지산파의 중심사찰로, 헌안왕 4년(860)에 왕의 권유를 받아 체징이 창건하였다. 동부도는 보림사 동쪽 숲 속에 있는 여러 승탑 중 가장 뛰어난 작품으로 손꼽힌다. 승려의 사리를 두는 탑신(塔身)을 중심으로 아래에는 3단의 기단(基壇)을 두고 위로는 머리장식을 얹었는데, 각 부분이 8각으로 깎여져 있다. 3단으로 된 기단의 맨아랫단과 맨윗단에는 8잎의 연꽃잎을 둘러 새기고 각 귀퉁이마다 꽃장식을 얹은 모습으로, 가운데는 8각의 기둥을 낮게 두었다. 탑신.. 2017. 8. 28.
[국보] 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분  류유물 / 불교조각 / 금속조 / 불상수량/면적1구지정(등록)일1963.02.21소 재 지전남 장흥군 유치면 봉덕리 45번지 보림사시  대통일신라 헌안왕 2년(859)소유자(소유단체)보림사관리자(관리단체)보림사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보림사의 대적광전에 모셔진 철로 만들 불상으로, 현재 대좌(臺座)와 광배(光背)를 잃고 불신(佛身)만 남아 있는 상태이다. 불상의 왼팔 뒷면에 신라 헌안왕 2년(858) 무주장사(지금의 광주와 장흥)의 부관이었던 김수종이 시주하여 불상을 만들었다는 내용의 글이 적혀 있어서 정확한 조성연대를 알 수 있는 작품이다. 머리에는 작은 소라 모양의 머리칼을 붙여 놓았으며, 달걀형의 얼굴에는 약간 살이 올라 있다. 오똑한 콧날, 굳게 다문 입 등에서 약간의 위엄을 느낄 수 있으나.. 2017. 8. 24.
[국보] 장흥 보림사 남·북 삼층석탑 및 석등 분  류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수량/면적3기지정(등록)일1962.12.20소 재 지전남 장흥군 유치면 봉덕리 45번지 보림사시  대통일신라 경문왕 10년(871)소유자(소유단체)보림사관리자(관리단체)보림사 가지산 남쪽 기슭에 있는 보림사는 통일신라 헌안왕의 권유로 체징(體澄)이 터를 잡아 헌안왕 4년(860)에 창건하였다. 그 뒤 계속 번창하여 20여 동의 부속 건물을 갖추었으나, 한국전쟁 때 대부분이 불에 타 없어졌다. 절 앞뜰에는 2기의 석탑과 1기의 석등이 나란히 놓여 있다. 남북으로 세워진 두 탑은 구조와 크기가 같으며, 2단으로 쌓은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놓고 머리장식을 얹은 통일신라의 전형적인 석탑이다. 기단은 위층이 큰데 비해 아래층은 작으며, 위층 기단의 맨.. 2017. 8.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