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장흥문화와역사/시도지정문화재

[시도지정 기념물 제 238호] 장흥 신북 구석기 유적

by 장흥문화원 관리자 2018. 3. 21.

시도 기념물 제 238호

장흥신북구석기유적 (長興 新北 舊石器遺蹟)

분 류 유적건조물/유물산포지유적산포지/육상유물산포지/선사유물
수량/면적 일원70,586㎡(34필지)
지정(등록)일 2008.04.11
소 재 지 장동면 북교리 신북마을 일원(9-19번지 외)
시 대 석기시대
소유자(소유단체)
관리자(관리단체)

장흥 신북 구석기유적은 장흥군 장동면 북교리 신북마을이 자리한 검은둥이 언덕(해발 190~165m)의 남쪽에 있다. 신북유적의 규모는 유물이 확인된 범위를 기준하면 약 12만여㎡으로 추산되고, 유물이 들어있는 지층의 분포 범위로 보면 신북마을을 포함한 언덕 전체가 해당되어 약 30여만㎡으로 추정된다. 2002년 8월에 국도2호선 장흥-장동간 도로 확포장 구간도로 건설 구간의 교량 터파기 공사 때 문화층이 드러나면서 발견되어 2003년-2004년 사이 7개월간의 발굴조사(조사기관 : 조선대학교 박물관, 조사 면적18,000여㎡) 결과 3만여 점의 유물이 발굴되었다.
그래서 2004년 5월 11일 지역 주민들을 중심으로 “장흥 신북구석기유적 보존회”가 결성되었고, 2004년 6월 22~24일 “동북아시아의 후기구석기문화와 장흥 신북유적”이란 제목으로 국내외 저명한 구석기학자들이 참여한 국제학술회의가 개최된 바 있다.
장흥 신북유적은 한국에서 보고된 후기 구석기시대 유적 가운데 가장 크고 유물의 밀집도도 높다. 그리고 신북유적을 중심으로 반경 12㎞ 범위에 20여개의 구석기유적들이 유적군을 형성하고 있으며, 그 가운데 신북유적은 거점 유적으로 추정된다.
여기서 화덕자리가 6개 이상 드러났고, 대표되는 뗀석기로는 좀돌날(세형돌날)몸돌, 새기개, 밀개, 슴베찌르개, 창끝찌르개 등이 있으며, 유적의 중심 연대는 22,000년 전(방사성탄소연대)으로 재어져 후기구석기 후반의 석기발달상을 잘 보여주는 유적이다.
특히 국부 마제석부를 포함한 새로운 종류의 간석기들이 소량이지만 대부분 문화층의 중간과 아래에서 드러나서, 이제까지 ‘타제기법은 구석기시대’, 그리고 ‘마제기법은 신석기시대’라는 고정 관념을 재검토해야할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국부마제석부는 일본열도에서 약 35,000년 전에 나온 예가 많아 구석기시대에 마제석기의 출현 가능성은 충분하다.
한편 이 유적 흑요석의 성분분석(PIXE) 결과 그 원산지가 백두산과 일본(큐슈 등)으로 추정되었다. 이 점은 유베쯔기법의 좀돌날몸돌, 슴베찌르개와 함께 신북유적의 후기구석기인들이 일본열도와 교류하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증거라고 생각된다.
이처럼 장흥 신북유적은 후기구석기시대의 생활상과 문화상을 잘 보여줄 뿐 아니라, 우리나라 후기구석기유적 중 가장 크고 유물의 밀집도도 높은 유적이다. 그리고 일본, 중국, 시베리아 등을 비롯한 동북아시아 후기구석기문화와의 연관성을 풀 수 있는 귀중한 유적으로서 역사적, 학술적 가치가 아주 크다고 하겠다.

자료출처: https://blog.naver.com/brucelee55/221054387845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3,02380000,36&pageNo=5_2_1_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