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흥문화원사업/2020 문화원사업갤러리 +22
<‘장흥의 암각문을 따라 걸으며 옛 선비들을 만나다’>
-지역의 문화적 자료를 발굴 보존하는 한편 군민의 정서적 욕구를 충족시키고 지역의 문화를 널리 홍보하여 확대에 기여하고자 함이다.
-장흥군 암각문 영상제작은 문림의향 장흥지역의 숨겨져있는 문화를 발견하고 장흥군 암각문 문화유산의 아카이브 구축을 통해 문화적 역량을 확보. 암각문 문화유산의 콘텐츠 개발을 도모하여 관광자원으로써의 가치를 창출 위함이다.
○ 제1기 광주・전남 정신문화 르네상스 문화원 동행 사업
○ 주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주 관 : 장흥문화원
○ 사업내용 : 장흥의 경관과 옛 선비들의 정취를 찾아 떠나는 강좌와 기행
○ 사 업 명 : ‘장흥의 암각문을 따라 걸으며 옛 선비들을 만나다’
○ 대상지역 : 장흥군 관내 암각문 특히 천관산 중심으로
○ 책임연구원 : 홍순석 교수 (강남대 한영문화콘텐츠학과)
한국한문학, 한국전통문화, 금석학 전문가
○ 강사구성 : 장흥 지역 향토사학자와 자문위원과 상의하여 구체적 사업 진행
○ 자문단구성 : 김기홍(전 문화원장),위황량(장흥 향토사가),김상찬(장흥 향토사가)
해동암각문연구회, 장흥향토사연구회
□ 답사기행 코스
제1회 기행 : 장천8경 (탁본체험)
제2회 기행 : 천관산
제3회 강좌 및 토론회 : ‘장흥 암각문을 통해 바라본 선비정신과 콘텐츠개발’
제4회 기행 : 장흥향교,부춘정,사인정
□ 답사기행 참여대상자 및 인원
1. 2020년 하반기에 추진 계획인 제1회 답사기행은 장흥군 문화해설사, 장흥문화원 임원+출향 인사 등 장흥지역 향토문화연구자 중심으로 실시하여 향후 지속적인 답사기행 추진시 현장 안내 및 해설자로 활용한다.
2. 답사기행 참여인원은 코로나19와 자연환경 보존과 효과적인 체험 기행을 위하여 매회 15~20명으로 제한하여 실시한다.
○ 결과물 : 강의자료집, 편집영상,언론홍보물
/ HWP 파일, PDF 파일, MOV 파일, AVI 파일
○ 사업기간 : 2020년 11월1일 ~ 2021년 5월 31일
<의향장흥 역사자원 발굴조사>
○ 장흥군지와 10개 읍면지에 기록된 주요한 역사적 사건과 인물에 관한 리스트를 작성하여 마을 방문, 사료 발굴과 함께 기록 작업 및 편집 및 발간.
○ 의향장흥 역사자원 발굴조사 사업 내용 : 문림의향 장흥의 역사와 문화를 풍부하게 기술하기 위한 현장 사료(각종 문헌과기록) 특히 의병과 독립운동가를 발굴하고 책자 발간으로 기록
○ 의향장흥 역사자원 발굴조사를 위한 장흥출신 독립운동가의 자료 열람 및 복사를 위한 ‘광주국가기록원’ 국가보훈처 협조
결과물: <2020 다시 쓰는 장흥항일독립운동사>
-명예회복과 진실규명을 위하여
독립지사 김계석 선생 사진 / 독립지사 김용관 선생 사진 / 독립지사 김재계 선생 사진 / 독립지사 박기평 선생 사진 / 독립지사 위종관 선생 사진 / 독립지사 정학조 선생 사진
[목 차]
▫자료집 발간을 축하하며
▫자료집을 펴내며
Ⅰ 다시 쓰는 장흥항일독립운동사
Ⅱ 문림의향 장흥의 영웅들 - 독립유공자
Ⅲ 새로 발굴·기록한 장흥항일독립운동과 독립지사
Ⅳ 국가보훈처에 신청했으나 독립유공자 포상을 받지 못한 독립지사들
Ⅴ 장흥항일운동 유적지
[부 록]
2020년 장흥독립운동가 포상 관련 신문기사
일제강점기 장흥농민운동사
해방 후 장흥정치운동사
화해와 해원을 위한 진실규명을 위하여
<고문집 국역사업 제4차 발간>
○정남진, 문림의향의 고장 장흥의 대표적인 고전문집을 연차적으로 국역 간행 하여 문림의 전통 계승과 정체성 제고
○ 사업명: 정남진 고문집 국역사업 제4차 발간
(문림의향 장흥 고전국역 총서)
○국역문집선정
1. 放湖集(방호집) 저자 金喜祖(김희조) : 국역간행
靈光人 放湖 金喜祖(1680-1752) 文集 : 放湖集 2책
2. 艮庵集(간암집) 저자 魏世鈺(위세옥) : 국역간행
長興人 艮庵 魏世鈺(1689-1766) 文集 : 艮庵集 1책
3. 보림사 중창기 증보 수정판 간행
(2001년 간행, 절판, 학계 및 독자의 수요유지)
○국역자 선정(운영위원회에서 선정)
◦ 방호집 (김희조) : 녹양 박경래 선생 (국역전문학자, 서예가)
◦ 간암집 (위세옥) : 아양 이병혁 선생 (국역전문학자, 문학박사)
◦ 보림사중창기 증보판 : 김희태 선생 (전 전남도문화재연구원)
○ 교정 및 감수: 김희태(전라남도문화재연구원)
○ 해제 : 방호집 : 이해준 교수
간암집 : 홍순석 교수
○ 결과물: 국역본 각 200부 / HWP 파일, PDF 파일
- 放湖集 방호선생문집 ▪출판사: 록양고문연구원(학민문화사)
- 艮庵集 간암선생문집 ▪출판사: 에코미디어
- 보림사 중창기 증보 수정판 ▪출판사: 도서출판 온샘
<장흥문화달력 제6호>
○매일 보는 장흥문화달력에 장흥군의 문화재(국보, 보물, 천연기념물 등)을 비롯한 그 지역의 아름다운 풍경을 배경으로 인물, 역사를 기록함으로써 문화회원 및 출향 향우, 우리지역 학생들에게는 역사교육 효과를, 학부모에게는 향토문화에 대한 이해를 돕고 애향심을 기를 수 있는 자료로 활용하고자 함
◦ 사업명 : 장흥문화달력 제6호
◦ 기 간 : 2020. 9월~12월
◦ 내용형식
- 문화가 살아있는 역사와 정남진 장흥 을 배경삼아 대표 행사
- 각 지역의 역사적 사건이나 대표적 연중행사 기록
- 각 지역의 기관 단체의 연중행사를 조사하여 기록
- 사진협조 : 장흥문화원,군청홍보과,사진작가협회 장흥지부,임성동,위종만 등
◦문화달력 2,000부 제작
◦배포처 : 장흥교육청,전남문화원,문화원관련,문화원관련,서울향우회,장흥군청 실과소,장흥군의회,
후원단체 (6개),향교,장흥읍,장평면,장동면,부산면,유치면,안양면,관산읍,대덕읍,회진면,용산면,
관내병원,보림사,시내기타,사진제공,포럼,출향문인,출향회원
<장흥문화 42호 발간>
○지역의 종합문화지로서 문화적 자료를 발굴 보존하는 한편 군민의 정서적 욕구를
충족시키고 장흥문화를 널리 홍보하여 문화가족의 저변 확대에 기여하고자 함
◦ 사업명 : 『장흥문화 제42호』발간
◦ 기 간 : 2020. 5월~12월
◦ 간행형태 : 4×6배판, 500여쪽
◦ 간행부수 : 1,800부
◦ 목 적 : 장흥군민의 정서적 욕구 충족과 장흥문화 홍보로 문화의 저변확대
◦ 내 용 : 「장흥문화」라는 제__호로 매년 발간하는 장흥문화 원보 향토사, 향토문화, 특집문예, 논단, 문화자원, 자유기고글, 답사기행기 등 수록
| 발간사 | 고영천
| 축 사 | 정종순, 유상호
| 기획특집1 - 장흥학 논단
조선후기 사회경세론과 장흥 인맥 / 이해준
『난중일기』의 장흥 땅 백사정과 군영구미 위치 검토 / 이수경
『寰瀛誌(환영지)』를 통해 본 존재 위백규의 역사지리인식 / 김봉곤
장흥지역 신종교(동학⋅천도교, 원불교)의 역사와 전망 / 정향옥
| 기획특집2 - 장흥학 문헌과 현장
장흥 차문화 문헌기록 - 문위세의 「茶賦」와 이유원의 「竹露茶」/ 정민
장흥 문화유적, 100년전의 기록과 사진을 만나다 / 김상찬·김희태
항일 암각 기록, 위원량의 망곡서(望哭書) / 홍순석,위종만
보림사 사적기-원본과 해석- / 문병길
| 기획특집3 - 장흥의 영웅들1-독립유공자
문림의향 장흥의 영웅들 - 독립유공자 / 문충선·김상찬·김희태·위종만
| 향토사조명
찬란한 장흥의 예맥(藝脈)- 장흥의 국악 / 김석중
국가 지정문화재 명승이 된 천관산 / 위무량
원감국사, 신라‧고려조 ‘불교문학의 최고봉’이었다 / 김선욱
재앙은 없애주고 큰 복은 내려 주십시오, 호계리 별신제 / 김희태
| 문화유적 발굴
장흥 금장사지 발굴조사 성과 / 한성욱
장흥군 문화재 현황
| 공공미술 현장
“예양강을 품다”-2020 장흥군 공공미술 프로젝트 실행기-/위명온
| 문예마당
꽃이바지/단산월
예양교 외1 /동초 백남선
연두고향 외2 / 김홍연
통일, 신념과 집념으로 기다리는 지혜/박길웅
| 장흥문화원 백일장과 그림그리기 대회
| 사업보고
군민, 문화가족과 함께 했던 문화사업
2020 언론속에 비춰진 장흥문화원 활동
| 편집후기
| 특별부록 『한눈에 바라보는 2020년 장흥군 행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