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장흥문화와역사/국가지정문화재12

[보물] 풍아익 분 류기록유산 / 전적류 / 필사본 / 사본류수량/면적15권 10책지정(등록)일2010.10.25소 재 지전라남도 장흥군시 대조선 명종 8년(1553)소유자(소유단체)백***관리자(관리단체)백*** 이 책의 편저자 유이(劉履: 1317-1379)는 주자를 숭배하는 학자로 주자의 뜻에 따라『문선』에 수록된 시에서 212편, 도연명의 시집을 비롯한 여타 서적에서 34수, 도합 246편의 시를 8권으로 편집하여『선시보주』라 하였고, 요순이래 진(晉)대에 이르는 옛 가요 42수를 뽑아 2권의『선시보유』를 엮었다. 이어서 당송 시대 시인 13명의 시 132수를 뽑아『선시속편』5권을 엮었다. 이 세 책에는 기존의 주석을 참고하고 부족한 부분은 자신의 의견으로 주석을 달고 이를 보주(補注)라 하였는데, 주석의.. 2018. 3. 22.
[보물] 장흥 보림사 목조사천왕상 분 류유물 / 불교조각 / 목조수량/면적4구지정(등록)일1997.06.12소 재 지전남 장흥군 유치면 봉덕리 45번지 보림사시 대조선 중종 10년(1515)소유자(소유단체)보림사관리자(관리단체)보림사 사천왕은 갑옷을 입고 위엄이 충만한 무인상을 하고 동·서·남·북의 사천국(四天國)을 다스리는데, 우리나라에서는 통일신라 초기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여 조선시대에는 사찰입구에 사천왕문을 세워 모시고 있다. 대웅전을 향하여 오른쪽에는 동방 지국천왕(持國天王)과 북방 다문천왕(多聞天王)이, 왼쪽에는 남방 증장천왕(增長天王)과 서방 광목천왕(廣目天王)이 위치하고 있다.동방 지국천왕은 호화롭게 장식된 보관을 쓰고 얼굴은 분노한 표정을 하였으며, 복장은 갑옷과 천의(天衣)를 입고 있다. 건장한 체구에 오른손으로 칼자.. 2018. 3. 20.
[보물]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권9~10 분 류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 간경도감본수량/면적2권 1책지정(등록)일1997.06.12소 재 지전남 장흥군 유치면 봉덕리 45번지시 대조선 세조 8년(1462)소유자(소유단체)보림사관리자(관리단체)보림사 자비도량참법은 경전을 읽으면서 죄를 참회하는 불교의식집을 말하며, 이를 수행하면 영험을 받을 수 있어 죄가 없어지고 복이 생긴다고 한다. 나아가 죽은 사람의 영혼을 구제하여 극락으로 인도함으로써 고통으로부터 벗어나려는 공덕 기원의 뜻을 담고 있다. 이 책은『자비도량참법』이 후대로 내려오면서 착오가 생기고 잘못 전해지자 여러 고승들이 다시 바르게 교정한 것으로, 10권 가운데 권 제9와 10이다. 나무에 새겨 찍어낸 목판본으로 2권이 한 책으로 되어 있다. 세종 29년(1447)에 김구덕의.. 2018. 3. 19.
[보물] 장흥 천관사 삼층석탑 분 류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수량/면적1기지정(등록)일1984.11.30소 재 지전남 장흥군 관산읍 농안리 739번지시 대고려시대소유자(소유단체)천관사관리자(관리단체)천관사 천관사는 신라 진흥왕 때 통령화상이 창건한 사찰로, 천관보살을 모셨다 하여 천관사라 하였다. 바닷가에 위치하여 왜구의 칩입을 여러차례 겪은 탓에 그 규모가 점차 축소되어 현재는 천관보살을 모셨던 법당만 남아있다. 법당에서 조금 떨어진 오른쪽에 자리잡고 있는 이 탑은 2단의 기단(基壇)위에 3층의 탑신(塔身)이 올려진 고려시대의 탑이다.탑신을 받치고 있는 기단은 아래·위층 모두 모서리에 기둥 모양의 조각을 본떠 새겨두었다. 탑신은 각 층의 몸돌과 지붕돌을 각각 하나의 돌로 쌓아 올렸으며, 층마다 몸돌의 모서리에 기.. 2018. 3. 15.
[보물] 금강경삼가해 권1 분 류기록유산 / 전적류 / 활자본 / 금속활자본수량/면적1권 1책지정(등록)일2002.08.05소 재 지전남 장흥군 유치면 봉덕리 45번지 보림사시 대조선 성종 13년(1482)소유자(소유단체)보림사관리자(관리단체)보림사 금강경삼가해 권1(金剛經三家解 卷一)은 『금강경』에 대한 주석서 『금강경오가해』 중 송나라 야보(冶父)와 종경(宗鏡), 그리고 조선 전기의 고승인 기화(己和) 3인의 주석을 뽑아 한글로 번역한 것이다.성종 13년(1482)에 세조의 비인 자성대왕대비의 명에 의하여 본문의 큰 글씨는 정축자(丁丑字)로, 풀이 부분의 중간 글씨와 작은 글씨는 을해자(乙亥字)로 찍어낸 활자본이다. 활자본은 글자를 하나하나 파서 고정된 틀에 끼워 찍어낸 것을 말하며, 정축년에 찍어낸 것을 정축자본, 을.. 2017. 11. 23.
[보물] 월인석보 권25 분  류기록유산 / 전적류 / 목판본 / 관판본수량/면적1권 1책지정(등록)일1997.06.12소 재 지전남 장흥군 유치면 봉덕리 45번지 보림사시  대조선 세조 5년(1459)소유자(소유단체)보림사관리자(관리단체)보림사 『월인석보』는 『월인천강지곡』과 『석보상절』을 합하여 세조 4년(1459)에 편찬한 불교대장경이다. 석보는 석가모니불의 년보 즉 그의 일대기라는 뜻이다. 조선 세종 28년(1446) 소헌왕후 심씨가 죽자 세종은 그의 명복을 빌기 위해 아들인 수양대군(후의 세조)에게 명하여 불교서적을 참고하여 한글로 번역하여 편찬한 것이 곧 『석보상절』이다. 세종 29년(1447) 세종은 『석보상절』을 읽고 각각 2구절에 따라 찬가를 지었는데 이것이 곧 『월인천강지곡』이다. 『월인석보』는 완질이 현재 전.. 2017. 9. 1.
[보물]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 분  류기록유산 / 서각류 / 금석각류 / 비수량/면적1기지정(등록)일1963.01.21소 재 지전남 장흥군 유치면 봉덕리 산10-1번지 보림사시  대통일신라시대소유자(소유단체)보림사관리자(관리단체)보림사 보림사에 있는 보조선사의 탑비로, 거북받침돌 위에 비몸을 세우고 머릿돌을 얹은 모습이다. 보조선사(804~880)는 통일신라시대의 승려로, 어려서 출가하여 불경을 공부하였으며, 흥덕왕 2년(827)에 승려가 지켜야 할 계율을 받았다. 희강왕 2년(837) 중국으로 건너갔으나, 멀리서 구할 필요가 없음을 느끼고, 문성왕 2년(840)에 귀국하여 많은 승려들에게 선(禪)을 가르쳤다. 헌안왕 3년(859) 왕의 청으로 보림사의 주기가 되었으며, 77세의 나이로 입적하였다. 왕은 그의 시호를 '보조선사'라 하.. 2017. 9. 1.
[보물]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 분  류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수량/면적1기지정(등록)일1963.01.21소 재 지전남 장흥군 유치면 봉덕리 산10-1번지 보림사시  대통일신라시대소유자(소유단체)보림사관리자(관리단체)보림사 보림사에 세워져 있는 사리탑으로, 보조선사의 사리를 모셔두고 있다. 보조선사(804~880)는 어려서 출가하여 불경을 공부하였으며, 흥덕왕 2년(827)에 승려가 지켜야 할 계율을 받았다. 희강왕 2년(837) 중국으로 건너갔으나 문성왕 2년(840)에 귀국하여 많은 승려들에게 선(禪)을 가르쳤다. 헌안왕 3년(859)에 왕의 청으로 보림사의 주지가 되었으며, 77세의 나이로 입적하였다. 왕은 그의 시호를 '보조선사'라 하고, 탑 이름을 '창성'이라 내리었다. 탑은 바닥돌부터 지붕돌까지 모두 8각으로,.. 2017. 8. 29.
[보물] 장흥 보림사 서 승탑 분  류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수량/면적2기지정(등록)일1963.01.21소 재 지전남 장흥군 유치면 봉덕리 산50번지 보림사시  대고려시대소유자(소유단체)보림사관리자(관리단체)보림사 보림사의 서쪽에 있는 승탑 2기로, 보림사로 들어가는 입구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나란히 세워져 있다. 하나는, 전체적으로 8각의 평면을 이루고 있으며, 네모반듯한 바닥돌 위로 3단의 기단을 세우고 그 위에 탑신과 지붕돌을 얹은 모습이다. 기단은 아래받침돌에는 2겹의 연꽃무늬를 새기고, 두껍고 넓은 가운데받침돌은 모서리마다 구슬을 꿰어놓은 듯한 기둥을 조각해 놓아 독특한 모습이다. 윗받침돌은 아래받침돌과 그 크기와 넓이가 비슷하며, 8장의 연꽃잎을 새겨두었다. 탑신의 몸돌에는 한쪽 면에 문짝 모양을 새기고 그 .. 2017. 8. 28.
[보물] 장흥 보림사 동 승탑 분  류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수량/면적1기지정(등록)일1963.01.21소 재 지전남 장흥군 유치면 봉덕리 산10-1번지시  대통일신라시대소유자(소유단체)보림사관리자(관리단체)보림사 보림사는 통일신라시대 선종 9산 중 가장 먼저 만들어진 가지산파의 중심사찰로, 헌안왕 4년(860)에 왕의 권유를 받아 체징이 창건하였다. 동부도는 보림사 동쪽 숲 속에 있는 여러 승탑 중 가장 뛰어난 작품으로 손꼽힌다. 승려의 사리를 두는 탑신(塔身)을 중심으로 아래에는 3단의 기단(基壇)을 두고 위로는 머리장식을 얹었는데, 각 부분이 8각으로 깎여져 있다. 3단으로 된 기단의 맨아랫단과 맨윗단에는 8잎의 연꽃잎을 둘러 새기고 각 귀퉁이마다 꽃장식을 얹은 모습으로, 가운데는 8각의 기둥을 낮게 두었다. 탑신.. 2017. 8. 28.
[국보] 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분  류유물 / 불교조각 / 금속조 / 불상수량/면적1구지정(등록)일1963.02.21소 재 지전남 장흥군 유치면 봉덕리 45번지 보림사시  대통일신라 헌안왕 2년(859)소유자(소유단체)보림사관리자(관리단체)보림사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보림사의 대적광전에 모셔진 철로 만들 불상으로, 현재 대좌(臺座)와 광배(光背)를 잃고 불신(佛身)만 남아 있는 상태이다. 불상의 왼팔 뒷면에 신라 헌안왕 2년(858) 무주장사(지금의 광주와 장흥)의 부관이었던 김수종이 시주하여 불상을 만들었다는 내용의 글이 적혀 있어서 정확한 조성연대를 알 수 있는 작품이다. 머리에는 작은 소라 모양의 머리칼을 붙여 놓았으며, 달걀형의 얼굴에는 약간 살이 올라 있다. 오똑한 콧날, 굳게 다문 입 등에서 약간의 위엄을 느낄 수 있으나.. 2017. 8. 24.
[국보] 장흥 보림사 남·북 삼층석탑 및 석등 분  류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수량/면적3기지정(등록)일1962.12.20소 재 지전남 장흥군 유치면 봉덕리 45번지 보림사시  대통일신라 경문왕 10년(871)소유자(소유단체)보림사관리자(관리단체)보림사 가지산 남쪽 기슭에 있는 보림사는 통일신라 헌안왕의 권유로 체징(體澄)이 터를 잡아 헌안왕 4년(860)에 창건하였다. 그 뒤 계속 번창하여 20여 동의 부속 건물을 갖추었으나, 한국전쟁 때 대부분이 불에 타 없어졌다. 절 앞뜰에는 2기의 석탑과 1기의 석등이 나란히 놓여 있다. 남북으로 세워진 두 탑은 구조와 크기가 같으며, 2단으로 쌓은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놓고 머리장식을 얹은 통일신라의 전형적인 석탑이다. 기단은 위층이 큰데 비해 아래층은 작으며, 위층 기단의 맨.. 2017. 8.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