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장흥문화예술인/장흥현대문인

[장흥문인]아름다운 역사와 마을을 꿈꾸었던 소설가 송기숙(1935~)

by 장흥문화원 관리자 2018. 5. 16.

 

◎ 인적사항
송기숙(1935 ~   )
1935년 출생(장흥군 용산면 포곡리)

소속 : 한국작가회의 상임고문, 전남대학교 명예교수

직업 : 소설가, 전직 대학교수
데뷔 : 1965년 소설 「이상서설」

◎ 학력사항
장흥 계산초등학교 졸업
장흥 중·고등학교 졸업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대학원 졸업 
1964년 전남대학교 국어국문과 졸업

◎ 수상연보
1973년 제 18회 현대문학상 수상
1994년 제 9회 만해문학상 수상
1995년 제 12회 금호예술상 수상
1996년 제 13회 요산문학상 수상
2015년 제 5회 동학농민혁명 대상 
2019년 전남대학교 제정 5·18학술상 수상

◎ 작품연보
1972. 10. 『白衣民族』(작품집), 형설출판사
1977. 09. 『자랏골의 悲歌』(상, 하), 창작과비평사  
1978. 09. 『도깨비 잔치』(작품집), 백제출판사 
1979. 09. 『재수없는 錦衣還鄕』(작품집), 시인사  
1981. 11. 『岩泰島』,  창작과비평사 
1983. 10. 『자랏골의 悲歌』〈3세대문학전집〉 24권중 제8권, 삼성출판사
1984. 05. 『개는 왜 짖는가』(작품집), 한진출판사
1984. 09. 『백포동자』, 『지 알고 내 알고 하늘이 알건만』, 창작과비평사
1984. 10. 『岩泰島』 〈현대의 한국문학〉 32권중 제19권, 범한출판사
1985. 04. 『그리고 기타 여러분』(이문구·최일남·송기숙 3인 연작소설집), 사회발전연구소
1985. 04. 『녹두꽃이 떨어지면』(수필집), 한길사
1986. 11. 『테러리스트』(작품집),  겨레출판사  
1987. 08. 『岩泰島』〈오늘의 한국문학33인선〉 33권중 제32권,  양우당 
1988. 05. 『어머니의 깃발』(작품집), 심지출판사
1988. 06. 『우투리-산자여 따르라 1』, 창작과비평
1988. 12. 『제7공화국』, 한국문학
1988. 12. 『파랑새』(분단주제 작품집), 전예원 
1988. 12. 『교수와 죄수사이』(수필집), 심지
1989. 01. 『보쌈』(민담집), 실천문학사 
1992. 02. 『이야기 동학농민전쟁』(소년역사소설),  창작과비평사 
1994. 01. 『녹두장군』(전 12권), 창작과 비평사 
1995. 05. 『자랏골의 悲歌』〈한국소설문학대계〉 100권중 제56권, 동아출판사  
1996. 08. 『은내골 기행』, 창작과비평사  
2000. 03. 『오월의 미소』, 창작과비평사 
2003. 05. 『들국화 송이송이』, 문학과경계
2005. 03. 『마을, 그 아름다운 공화국』(수필집), 화남
2007. 09. 『거짓말 잘하는 사윗감 구함』, 창작과비평사
2007. 09. 『제 불알 물어 버린 호랑이』, 창작과비평사
2007. 09. 『모주꾼이 조카 혼사에 옷을 홀랑 벗고』, 창작과비평사
2007. 09. 『정승 장인과 건달 사위』, 창작과비평사
2007. 09. 『보쌈 당해서 장가간 홀아비』, 창작과비평사
2007. 09. 『아전들 골탕 먹인 나졸 최환락』, 창작과비평사

◎ 작가연보
• 1935년 7월 4일 출생. 전남 장흥군 용산면 포곡리에서 양친 아래, 아우와 함께 성장하며 계산초등학교와 장흥중·고등학교를 다님. 깊은 산골 동네라 초등학교는 십리 남짓, 중·고등학교는 큰 재인 자포치재를 넘어 십리 길을 걸어 통학. 중학교 때 송귀식(宋貴植)에서 송기숙(宋基琡)으로 개명. 고등학교 2학년 때 단편소설 「야경」이 《학생》에 실렸으며, 고등학교 3학년 때 교지 《억불》에 단편소설 「물쌈」을 게재함.
• 1956∼61. 전남대학교 물리대학 국문학과에 입학을 하고 나서 법과대학으로 전과를 생각하는 등 극심한 방황을 하다가 군에 입대. 학보병(학적보유병)으로 복무기간 혜택을 받아 18개월 만에 병역을 마치고 복학하여 그때부터 정신적으로 다소 안정을 얻음. 《국문학보》에 단편소설 「진공지대」를 게재했으며, 전남대학교 대학 신문사 전임기자로 입사하여, 편집업무 종사함.
• 1962∼64. 대학을 졸업하고 대학원(석사과정)에 입학하여 현대문학을 전공, 같은 장흥 출신 김영애와 결혼. 그때 평론 「창작과정을 통해 본 손창섭」이 《현대문학》에 추천(조연현 선생)되고 이듬해 「이상서설」이 추천되어 평론가로 데뷔. 「창작과정을 통해 본 손창섭」은 손창섭의 소설을 좋아했기 때문에 국문학과 학생회에서 내는 《국문학보》에 쓴 짤막한 글이 계기가 되어 그걸 다듬어 《현대문학》에 보낸 것이 추천이 되었고, 내친 김에 대학원 학위 눈문이었던 「이상서설」을 평론으로 꾸며 추천이 완료됨. 그 전에 신춘문예에 응모하여 떨어진 적이 있을 만큼 전부터 소설을 쓰려고 했으므로 그 뒤부터 곧장 소설을 쓰기 시작함.
• 1965∼73. 목포교육대학 교수로 7년간 목포에서 생활. 문학 이론의 연구보다 작가로서 작품을 쓸 작정이었으므로 전공과목에 대한 부담 없이 교양과목만 맡는 교육대학은 작품 쓰기에 안성맞춤이어서 교육대학의 교수직을 천직으로 삼으려 했음.  대학교 재학시 《국문학보》에 냈던 「진공지대」를 수정해서 「대리복무」로 개작하여 《현대문학》에 게재함. 분단 문제를 본격적으로 다룬 단편 소설 「어떤 완충지대」, 「백의민족·1968년」, 「휴전선 소식」 을 발표(현대문학), 「영감님 빠이빠이」(월간문학), 「사모곡 A단조』(현대문학) 발표. 
• 1973∼79. 모교인 전남대학교로 자리를 옮겼으나 유신 직후 민청학련 사건이 발생하는 등 시국이 경화되어 차근하게 강의하고 작품을 쓸 수 있는 분위기가 아니었음. , 전남대학교 교수 10명과 함께 `우리의 교육지표' 제하의 선언문을 발표하고 구속됨. 교수직은 재판이 시작되기도 전에 문교부의 지시에 따라 징계위원회에서 파면되고, 다른 교수들은 의원면직 형식으로 쫓겨났음.  4년 징역형을 선고받고 모처럼 차근하게 책을 읽다가 청주교도소로 이감되었으며 거기서는 집필이 허가되어 「암태도」 초고를 쓰고 있다가 이듬해 제헌절특별사면으로 1년 여 만에 석방됨. 한승원을 주축으로 광주에 있는 소설가 9명이 활동하였던《소설문학》 동인 활동을 함. 
• 1980∼84. 80년의 봄을 맞아 다른 교수들은 복직되었으나 그는 실형에 병과 되었던 자격정지 부분에 대한 복권이 되자 않아 복권을 기다리고 있는 사이 광주민중항쟁이 터짐. 항쟁 초기인 19일 지명수배 되었다는 말에 교육지표사건 교수들과 서울로 피했다가 광주를 초토화시킨다는 뉴스를 듣고 바로 내려와 시민군 2천여 명이 죽었다는 말에 놀라 시민수습위원회에 참여하여 일반 수습활동을 하는 한편 대학생 수습위원회를 조직함. 계엄사와 협상과정에서 처음부터 기회주의적이었던 일부 수습위원들과 극심한 대립을 겪다가 사태가 이미 기울어진 것 같아 다시 서울로 피신했으며, 다음날 도청이 함락됨. 체포되자 계업당국은 수습을 빙자한 폭동 지휘자로 몰아 징역 5년을 선고(죄명 : 내란죄 중요임무종사)하여 1년 복역. 『녹두장군』 집필계획을 광주교도소에서 세운 후, 출감 후 지리산 피아골(구례군 토지면 평도리)에 들어가서 집필하다가, 전국 해직교수들과 제휴 해직교수아카데미를 조직, 각 지역으로 강연을 다니는 등 민주화운동을 함. 『녹두장군』을《정경문화》에 연재하기 시작. 
• 1984.8.17. 파면 당한 지 7년 만에 대학에 복직. 
• 1984.8.18.∼8.6. 전남대학교 박물관 조사단 운주사 유적발굴조사 시작. 학원 인정법 제정 반대 투쟁과 시국선언 서명에 적극 참여. 
• 1987.5. 〈한국현대사사료연구소〉를 설립하여 소장 직을 맡음. 5·18광주민중항쟁 사료를 수집하자는 기구였으나 탄압을 피하려고 애매한 이름을 붙였으며, 리영희 강만길 백낙청씨 등이 이사로 참여하여 자료수집과 연구발표 등 광주항쟁에 대한 본격적인 자료조사와 연구를 시작함. 참여자 5백여 명의 구술 증언과 기타 자료를 집대성하여 2백자 원고지 2만 5천 장 분량의 『5·18광주민중항쟁사료전집』 발간. 이 일은 『녹두장군』을 쓰는 사이 농민전쟁에 대한 사료가 관변자료뿐 농민군이 남긴 자료는 거의 없다는 사실에 충격을 받아 시작하였으므로 광주항쟁 참여자들 개개인의 항쟁 참여담을 위주로 자료 수집에 역점을 두었으며, 90년 92년 2회에 걸쳐 항쟁 이후 처음으로 광주항쟁 주제의 학술대회를 염. 이 연구소 운영은 광주 지역 중소기업가들의 일억 원 가까운 지원으로 가능했으며 나중에 형편이 극도로 어려울 때는 금호실업의 결정적인 도움을 받았고, 자료출간은 거의 풀빛출판사 나병식 사장에 의존했음. 
• 1987∼89. 〈민주화를위한전국교수협의회〉 창립을 주도하고 초대 공동의장. 6월 항쟁 때 호헌 반대 서명을 한 교수가 8백 명에 가깝다는 사실에 착안, 이 수를 조직하면 항구적인 교수 운동단체가 되겠다는 생각에서 영남대 이수인 교수와 함께 당시 각 대학에서 서명을 주도한 교수들과 논의하여 이 단체 조직에 앞장섰던 것임. 
• 1987∼94. 88년에 광주민주화운동을 소재로 한 소설 「우투리-산자여 따르라 1」 연작을 시작하였으나 엄두가 나지 않아 더 이상 집필 못하고 1로 끝냄. 강의를 하고 연구소를 운영하며 87년부터 전남 승주군 선암사에 집필실을 마련하여 매주 4일씩 7년간 「녹두장군」 집필. 1994년 『녹두장군』(창작과비평사) 12권 완간. 『녹두장군』으로 제9회 만해문학상을 수상함.
• 1994∼96. 「녹두장군」을 끝내고 민족문학작가회의 회장을 맡아 2년간 거의 매주 서울에 올라다니며 작가회의를 운영함. 1974년 자유실천문인협회로 출발하여 작가들의 민주화운동 결집체였던 작가회의를 작가들의 일반단체로 탈바꿈해야 한다는 생각에 운영체제를 정비하고 법인의 기틀을 잡았음. 제12회 금호예술상을 수상함.
• 1996. 임의단체이던 〈한국현대사사료연구소〉를 발전적으로 해체, 전남대학교에 5·18연구소 설립을 주도하여 모든 자료와 재산을 이양하고 소장직을 맡음. 연구소 자리가 잡히자 곧장 소장직을 내놓고 전남 화순군 화순읍 무등산 산자락으로 이사하여 광주항쟁을 주제로 한 장편 「오월의미소」 집필하여 2000년 초에 출간. 제13회 요산문학상을 수상함.
• 1997.12.22. 전·노씨 사면은 역사의 후퇴라고 생각하여 『한겨레신문』에 특별 기고함.
• 1999.05.08. 민자해체·공개념 촉구를 위한 시국선언에 교수 41명과 함께 참여함.
• 2000.일체의 사회활동을 그만하기로 작정했으나 젊은이들의 하소연에 못 이겨하는 수 없이 또 총선연대에 관여하여 일정한 효과를 거두기는 했으나 운동으로서는 가장 어려운 곤을 치름. 
(1992 장흥동학농민혁명기념탑에 탑문 글 작성)
(1992.10. 장흥최초의 동학농민혁명 사료집 『장흥동학농민혁명사』 1부 집필 간행)
• 2000.08.31. 전남대학교에서 정년퇴임하여 화순에 칩거하며 창작을 하고 있음. 
• 2004. 광주문화중심도시조성위원회 위원장. 
• 2007.06. 진정한 교육자란 반사회적이고 반역사적인 행위에 당당히 맞설 수 있어야 하며, 학생들에게 ‘혼백을 심어주는 교육’을 할 수 있는 사람이어야 함을 강조했던 공로를 높이 평가하여 용봉인 명예대상을 수상.
• 2007.09. 설화 총 53편을 6권의 책으로 창작과비평사에서 발간함.
• 2008.07. 시대의 창에서 『녹두장군』(전12권)을 재출간함.
• 2009. 2005년부터 개고작업을 했던 중·단편전집 작업을 마치고, 한국작가회의에서 주관한 ‘독재 회귀 우려’ 시국 선언에 참여했으며, 광주시교육감 시민추대위 활동을 함.
• 2019. 전남대학교 제정 5·18학술상 수상

 

송기숙 소설작품 연표

연 번 작품명 게재지 발표 시기 작품집 개작 정도
1 야경 학생


2 진공지대 국문학보 1959.(창간호)



3
대리복무 현대문학 1966.11.(통권143)


어문각 1970. 중ㆍ단편선집 7
형설출판사 1972.10. 백의민족
을유문화사 1976.07. 한국작가출세작품전집
겨레출판사 1986.11. 테러리스트
1990.11. 서빙고에 핀 꽃
도서출판 삼우 1994.01. 다시 읽고 싶은 소설 2
4 어떤 완충지대

현대문학 1968.12.(통권168)
형설출판사 1972.10. 백의민족
정한출판사 1975.01. 한국대표단편문학전집
문성당 1975. 불의
한진출판사 1984.05. 개는 왜 짖는가
계몽사 1986.09. (우리 시대의) 한국문학12
겨레출판사 1986.11. 테러리스트
전예원 1988.12. 파랑새
청사 1990.03. 민족소설선5
계몽사 1991.09. (우리시대의) 한국문학13
5 백의민족ㆍ
1968

현대문학 1969.07.(통권175)
형설출판사 1972.10. 백의민족
어문각 1975.01. 단편선집 7
동화출판공사 1976. 만고강산
갑인출판사 1978.02. 70년대 현대문학상수상작품집
한진출판사 1984.05. 개는 왜 짖는가
겨레출판사 1986.11. 테러리스트
전예원 1988.12. 파랑새
청사 1990.03. 민족소설선5
가람기획 1998.06. 한국 3대 문학상 수상소설집ㆍ3
6 영감님 빠이빠이 월간문학 1971.03.(통권4
3)


영감은 불 속으로로 작품명 변경.
형설출판사 1972.10. 백의민족
겨레 출판사 1986.11. 테러리스트
7 사모곡 A단조 현대문학 1971.04.(통권196)
형설출판사 1972.10. 백의민족
어문각 1975.01 단편선집 7
을유문화사 1976.07. 한국작가출세작품전집
도서출판 심지 1988.05. 어머니의 깃발
8 휴전선 소식 현대문학 1971.08.(통권200)
형설출판사 1972.10. 백의민족
한진출판사 1984.05. 개는 왜 짖는가
겨레 출판사 1986.11. 테러리스트
1987.07.
실천문학사 누이를 위하여
1988.12.
전예원 파랑새
9 어느 해 봄 현대문학 1972.01.(통권205)
형설출판사 1972.10. 백의민족
어문각 1975.01. 단편선집 7
겨레 출판사 1986.11. 테러리스트
10 낙제한 교수 월간문학 1972.08.(통권5
8)

형설출판사 1972.10. 백의민족
예술문화사 1976. 어리석은 농부 인생을
도둑맞아
미문화사 1979. 유다행전
11 전우 현대문학 1972.10.(통권214)
형설출판사 1972.10. 백의민족
도서출판 심지 1988.05. 어머니의 깃발
12 테러리스트 월간문학 1972.10.(통권5
10)

형설출판사 1972.10. 백의민족
문성당 1975. 불의
동화출판공사 1976. 만고강산
겨레 출판사 1986.11. 테러리스트
13 재수없는 동행자 형설출판사 1972.10.

백의민족


14 지리산의 총각샘

현대문학 1973.01.(통권217)
형설출판사 1972.10. 백의민족
겨레 출판사 1986.11. 테러리스트
15 갈머리 방울새 현대문학 1973.05.(통권221)
도서출판 심지 1988.05. 어머니의 깃발
전예원 1988.12. 파랑새
16 전설의 시대 문학사상 1973.09.(통권12)
백제출판사 1978.09. 도깨비 잔치
한진출판사 1984.05. 개는 왜 짖는가
전예원 1988.12. 파랑새
17 어느 여름날 월간문학 1973.09.(통권6
6)

시인사 1979.09. 재수없는 錦衣還鄕
겨레 출판사 1986.11. 테러리스트
18 흰구름 저 멀리 ? 1973.
한진출판사 1984.05. 개는 왜 짖는가
전예원 1988.12. 파랑새
19 자랏골의 비가 현대문학 1974.02~1975.06.
(통권230~246)

창작과 비평사 1977.09.
삼성출판사 1984.10. 3세대 한국문학전집 24인선8
범한출판사 1984.10. 현대의 한국문학19
동아출판사 1995.05.10. 한국소설문학대계56
20 추적

창작과 비평 1975.가을.(통권37)
백제 출판사 1978.09. 도깨비 잔치
대방출판사 1982. 한국단편문학의 이해와 감상ㆍ3
범한출판사 1984.10. 현대의 한국문학19
양우당 1987.07. 오늘의 한국문학 33인선32
도서출판 심지 1988.05. 어머니의 깃발
21 불패자 문학사상 1976.09.(통권48)
백제출판사 1978.09. 도깨비 잔치
양우당 1987.07. 오늘의 한국문학 33인선32
도서출판 심지 1988.05. 어머니의 깃발
22 재수없는 금의환향 현대문학 1976.09.(통권261)
시인사 1979.09. 재수없는 錦衣還鄕
겨레 출판사 1986.11. 테러리스트
양우당 1987.07. 오늘의 한국문학 33인선32
동아출판사 1995.05.10. 한국소설문학대계56
23 귀향하는 여인들 월간중앙 1976.10.(통권103)
시인사 1979.09. 재수없는 錦衣還鄕
겨레 출판사 1986.11. 테러리스트
24 가남약전 월간문학 1977.09~11.
(통권109~1011)

백제출판사 1978.09. 도깨비 잔치
도서출판 심지 1988.05. 어머니의 깃발
25 칠일야화 현대문학 1977.10.(통권274)
시인사 1979.09. 재수없는 錦衣還鄕
겨레 출판사 1986.11. 테러리스트
전남대학교출판부 1999. 한국의 언어와 문학


26
만복이 문예중앙 1978.03.
백제출판사 1978.09. 도깨비 잔치
한진출판사 1979.05. (78)問題作品 20選集
범한출판사 1984.10. 현대의 한국문학19
양우당 1987.07. 오늘의 한국문학 33인선32
도서출판 심지 1988.05. 어머니의 깃발
27 도깨비 잔치

현대문학 1978.06.(통권282)
백제출판사 1978.09. 도깨비 잔치
실천문학사 1982.06. 現代作家 問題小說選
범한출판사 1984.10. 현대의 한국문학19
양우당 1987.07. 오늘의 한국문학 33인선32
도서출판 심지 1988.05. 어머니의 깃발
28 땅꾼의 꼭지 전남일보 1978.06.
백제출판사 1978.09. 도깨비 잔치
양우당 1987.07. 오늘의 한국문학 33인선32


29
몽기미 풍경 한국문학 1978.07.(통권6
7)

시인사 1979.09. 재수없는 錦衣還鄕
겨레 출판사 1986.11. 테러리스트
동아출판사 1995.05.10. 한국소설문학대계56
창비 2005.11.25. 20세기 한국소설23
푸른 사상 2007.01. 한국소설의 얼굴10
30 물 품는 영감 월간문학 1978.08.(통권11
8)


뚱바우 영감
으로 작품명 변경.
시인사 1979.09. 재수없는 錦衣還鄕
금성출판사 1984.08. 한국현대단편문학65
겨레 출판사 1986.11. 테러리스트
31 청개구리 소설문학 1979.02.(통권3)
시인사 1979.09. 재수없는 錦衣還鄕
32 유채꽃 피는 동네 시인사 1979.09. 재수없는 금의환향
금성출판사 1984.08. 한국현대단편문학65
금성출판사 1987.09. 한국단편문학31
33 낙화 현대문학 1979.12.(통권300)
한진 출판사 1980.05. 79年 問題作品 20選集
양우당 1987.07. 오늘의 한국문학 33인선32
도서출판 심지 1988.05. 어머니의 깃발
34 암태도 창작과 비평 1979.겨울~1980.
여름.(통권54~56)

창작과 비평사 1981.11. 암태도
범한출판사 1984.10. 현대의 한국문학19
양우당 1987.07. 오늘의 한국문학 33인선32
35 사형장 부근 실천문학 1980.03.(통권1)
도서출판 심지 1988.05. 어머니의 깃발
36 살구꽃이 필 때까지 한국문학 1980.06.(통권8
6)

도서출판 심지 1988.05. 어머니의 깃발
전예원 1988.12. 파랑새
37 녹두장군 현대문학 1981.08~1982.10.(통권322~334)
정경문화
(월간 경향)
1984.03~1987.01
창작과비평사 1994.01.
시대의 창 2008.07.
38 당제 공동체문화 1983.06. 더불어 사는 삶의 터전1
한진 출판사 1984.05. 개는 왜 짖는가
금성출판사 1984.08. 한국현대단편문학65
범한출판사 1984.10. 현대의 한국문학19
지양사 1985.05. 우리들의 공동체 하나됨을
위하여
겨레 출판사 1986.11. 테러리스트
금성출판사 1987.09. 한국단편문학31
전예원 1988.12. 파랑새
청사 1990.03. 민족소설선5
나남출판 1995.06. 堂祭 外
창비 2005.11.25. 20세기 한국소설23
39 개는 왜 짖는가

현대문학 1983.07.(통권343)
한진 출판사 1984.05. 개는 왜 짖는가
범한출판사 1984.10. 현대의 한국문학19
계몽사 1986.09. (우리 시대의) 한국문학12
도서출판 심지 1988.05. 어머니의 깃발
계몽사 1991.09. (우리 시대의) 한국문학13
동아출판사 1995.05.10. 한국소설문학대계56
창비 2005.11.25. 20세기 한국소설23
40 어머니의 깃발 한국문학 1984.01.(통권12
1)

한진 출판사 1984.05. 개는 왜 짖는가
지양사 1985.05. 밥과 희망과 우리들의 공동체
도서출판 심지 1988.05. 어머니의 깃발
전예원 1988.12. 파랑새
41 백포동자 창작과 비평사 1984.09. 지 알고 내 알고 하늘이
알건만

42 신농가월령가 사회발전연구소 1985.04. 기타 그리고 여러분
43 부르는 소리 창작과 비평사 1987.02. 매운 바람 부는 날에
도서출판 심지 1988.05. 어머니의 깃발
44 파랑새 한국문학 1987.09.(통권15
9)

도서출판 심지 1988.05. 어머니의 깃발
전예원 1988.12. 파랑새
45 우투리-산자여 따르라 1 창작과 비평 1988.여름.
(통권60)


46 7공화국 한국문학 1988.12.
(통권1612)

황토 1990.06. 92한국겨울 그리고 대권
47 이야기
동학농민전쟁
창작과 비평사 1992.2.

48 고향 사람들 창작과 비평사 1996.02. 작은 이야기, 큰 세상
문학과 경계 2003.05. 들국화 송이송이
49 은내골 기행 (월간)예향 1995.07~1995.12

창작과 비평사 1996.08.
50 산새들의 합창 내일을 여는 작가 1996.09.(통권3)

보리피리로 작품명 변경.
문학과 경계 2003.05. 들국화 송이송이
51 가라앉는 땅 실천문학 1996.11.(통권43)
문학과 경계 2003.05. 들국화 송이송이
52 오월의 미소 창작과 비평사 2000.02.

53 길 아래서 창작과 비평 2001.가을.
(통권113)

문학과 경계 2003.05. 들국화 송이송이
54 들국화 송이송이 실천문학 2001.여름.
(통권62)

문학과 경계 2003.05. 들국화 송이송이
55 북소리 둥둥 문학동네 2002..(통권30)
문학과 경계 2003.05. 들국화 송이송이
56 성묘 문학과 경계 2002.여름.(통권5)
문학과 경계 2003.05. 들국화 송이송이
57 꿈의 궁전 실천문학 2002.가을.
(통권67)

문학과 경계 2003.05. 들국화 송이송이
58 돗돔이 오는 계절 현대문학 2002.11.(통권575)
문학과 경계 2003.05. 들국화 송이송이

 

 

송기숙 산문 연표

연   번   작품명 게재지 발표시기 작품집 비고
1 창작과정을 통해 본 손창섭 현대문학 1964.09.(통권117)
평론
어문각 1974. 신한국문학전집
국학자료원 1994. 한국현대소설이론
자료집.69.
새미 2003.03. 손창섭
2 하나의 제의 현대문학 1965.09.(통권129)
천료 소감
3 이상서설 현대문학 1965.09.(통권129)
평론
4 破紙와 담배꽁초 속에서 월간문학 1969.07.(통권27)

5 득의보다는 두려움이 현대문학 1970.01.(통권181)

6 이상(오감도) 월간문학 1970.06.(통권36)
평론
7 스승과 제자 송림 1972.12.(통권3)
수필
8 또 다른 孤獨 현대문학 1973.04.(통권220)
현대문학상
수상 소감
9 깔끔한 술꾼-권일송 현대문학 1973.06.(통권222)

10 폐가 될까봐서 현대문학 1975.01.(통권241)

11 故鄕타령 신동아 1975.12.(통권136)

12 小說에 있어서의 觀點(point of
view)問題
용봉논총 1976.06.
평론
새밭출판사 1980. 다시하는 강의
13 日帝下 英國文學 理論受容態度 용봉논총 1977.
평론
14 꾀 많은 하인 까치 1977.8.5. 우리들의 문학 교실 민담
15 농촌소설과 농민 생활 창작과 비평 1977. 겨울(통권46)
좌담
온누리 1983.04. 농민문학론
16 싸구려 행운 전남일보 1978.03.04.
콩트
시인사 1979.09. 재수없는 錦衣還鄕
17 끼리끼리 世上 전남일보 1978.03.11.
콩트
시인사 1979.09. 재수없는 錦衣還鄕
18 어떤 三代 전남일보 1978.03.18.
콩트
시인사 1979.09. 재수없는 錦衣還鄕
19 商道 전남일보 1978.03.25.
콩트
시인사 1979.09. 재수없는 錦衣還鄕
20 딸 찾으세요 전남일보 1978.04.01
콩트
시인사 1979.09. 재수없는 錦衣還鄕
21 바람불고 비오고 전남일보 1978.04.15.
콩트
22 버림받는 사람들 전남일보 1978.04.29.
콩트
시인사 1979.09. 재수없는 錦衣還鄕
23 돈 놓고 돈 먹기 전남일보 1978.05.06.
콩트
24 약탈하는 풍경 전남일보 1978.05.20.
콩트
시인사 1979.09. 재수없는 錦衣還鄕
25 자갈밭에 모심기 전남일보 1978.05.27.
콩트
시인사 1979.09. 재수없는 錦衣還鄕
26 고향 풍경 전남일보 1978.06.03.
콩트
시인사 1979.09. 재수없는 錦衣還鄕
27 優等生들의 族譜 전남일보 1978.06.10.
콩트
시인사 1979.09. 재수없는 錦衣還鄕
28 일주 할아버지 전남일보 1978.06.24.
콩트
시인사 1979.09. 재수없는 錦衣還鄕
29 견고한 의식과 뜨거운 애정 창작과 비평 1978.여름(통권48)
서평
30 초봄에 쓰는 편지 신동아 1980.04.(통권188)

31 농부 조규현 마당 1982.08.(통권12)

한길사 1985.11. 녹두꽃이 떨어지면
32 학의 왼눈썹 마당 1983.01.(통권17)
민담
실천문학사 1989.09. 보쌈
33 외동딸과 건달 마당 1983.01.(통권17)
민담
샘터 1983.5.(통권145)
실천문학사 1989.09. 보쌈
34 정승 장인과
능청 사위
마당 1983.02.(통권18)
민담
실천문학사 1989.09. 보쌈
35 거짓말 잘하는
사윗감
마당 1983.04.(통권20)
민담
실천문학사 1989.09. 보쌈
36 훈장 장가보낸
꼬마 제자
마당 1983.05.(통권21)
민담
실천문학사 1989.09. 보쌈
37 東學農民戰爭
발자취
한길사 1983.06. 한국사회연구 제1 역사기행
도서출판 심지 1988.12. 교수와 죄수 사이
38 저승 다녀온 머슴 마당 1983.07.(통권23)
민담
실천문학사 1989.09. 보쌈
39 우렁 속에서
나온 미녀
마당 1983.08.(통권24)
민담
실천문학사 1989.09. 보쌈
40 돼지값보리값에 우는 농민들 한국인 1983.09.(통권29) (한국의)서민철학
사회발전연구소 1984.12.
한길사 1985.11. 녹두꽃이 떨어지면
41 에비와 곶감 마당 1983.11.(통권27)
민담
실천문학사 1989.09. 보쌈
42 애먼 유기장수 마당 1983.12.01.(통권
28)

민담
실천문학사 1989.09. 보쌈
43 건달 과객과
코맹년이 주인
마당 1983.12.(통권29)
민담
실천문학사 1989.09. 보쌈
44 나의 文學,
나의 小說作法
현대문학 1983.12.(통권348)
대담
도서출판 정민 1994.11. 창작이란 무엇인가
45 가야마 미쓰로의
거짓 증언
경향잡지 1983.12.(통권1389)

한길사 1985.11. 녹두꽃이 떨어지면
푸른나무 1992.02. 꽃이 사람보다
따뜻할 때
46 은혜 갚은 자라 마당 1984.01.(통권30)
민담
실천문학사 1989.09. 보쌈
47 제 복으로 사는 젊은이 마당 1984.02.(통권31)
민담
실천문학사 1989.09. 보쌈
48 호랑이 잡는 매 마당 1984.03.(통권32)
민담
실천문학사 1989.09. 보쌈
49 오봉산의 버드나무 마당 1984.04.(통권33)
민담
실천문학사 1989.09. 보쌈
50 굴비짐을 삼킨
절구통
마당 1984.05.(통권34)
민담
실천문학사 1989.09. 보쌈
51 한국 최초의
양공주 최옥향
마당 1984.06.(통권35)
민담
실천문학사 1989.09. 보쌈
52 거제도 건달
옥범 좌수
마당 1984.07.(통권36)
민담
실천문학사 1989.09. 보쌈
53 김병걸 선생의
홍도기행
실천문학사 1984.08. 실천시대의 문학 발문
도서출판 심지 1988.12. 교수와 죄수 사이
54 宋基淑 교수 어떻게 지냈소 (월간)예향 1984.10.(통권1)
인터뷰
55 공동체적 존재로서의 민중:
작가가 본 전봉준과 동학
신인간 1984.11.(통권423)

56 韓國民譚에서
來世觀
생활성서 1984.11.(통권15)

57 그래도 쓰레기통에서 장미는 핀다 마당 1985.05.(통권46)

58 뼈대 없이 자기 내세우고 옛것만
신주 모시 듯 해서야
마당 1985.10.(통권51)

59 광주학생운동의 재조명 생활성서 1985.11.(통권27)

60 대인 홍남순 한길사 1985.11. 녹두꽃이 떨어지면
61 교과서가 살벌하다 한길사 1985.11. 녹두꽃이 떨어지면
62 이 아이들을 어찌할 것인가 한길사 1985.11. 녹두꽃이 떨어지면
63 역사가 지워준 짐 한길사 1985.11. 녹두꽃이 떨어지면
64 우리의 교육지표 한길사 1985.11. 녹두꽃이 떨어지면
65 무서운 것 한길사 1985.11. 녹두꽃이 떨어지면
66 미감아의 근대화 한길사 1985.11. 녹두꽃이 떨어지면
67 조종의 돌멩이 한길사 1985.11. 녹두꽃이 떨어지면
68 육지 콤플렉스 한길사 1985.11. 녹두꽃이 떨어지면
69 임신한 죄인들 한길사 1985.11. 녹두꽃이 떨어지면
70 천사와 선녀 한길사 1985.11. 녹두꽃이 떨어지면
71 잭 앤더슨의 감각 한길사 1985.11. 녹두꽃이 떨어지면
72 호랑이 안부 한길사 1985.11. 녹두꽃이 떨어지면
73 대학은 열외 한길사 1985.11. 녹두꽃이 떨어지면
74 4퍼센트의 엘리트 한길사 1985.11. 녹두꽃이 떨어지면
75 연산군 소동 한길사 1985.11. 녹두꽃이 떨어지면
76 바보 박사님 한길사 1985.11. 녹두꽃이 떨어지면
현대문학사 1987. 행복의 이웃에 산다
77 교육정책의
이념적 왜곡
한길사 1985.11. 녹두꽃이 떨어지면
78 (秘法)論述文作法 東光 1985.

79 갈재 길섶에 묻혀있는 한 많은
역사
한국인 1986.02.(통권52)

80 한국설화에 나타난 민중혁명사상 한길사 1986.11. 우리시대
民族運動의 과제

실천문학사 1989.01. 보쌈
81 80년대의 민족사적 의의 실천문학 1987.01.(통권8)
박현채와
대담
도서출판 심지 1988.12. 교수와 죄수 사이
82 일제와 지주들에 맞서 소작 쟁의를 벌인 암태도 한국인 1987.07.

도서출판 심지 1988.12. 교수와 죄수 사이
83 달음질쳐 간 고향의 세월 조선일보사 1987. (작가가 쓴)作家
고향

도서출판 심지 1988.12. 교수와 죄수 사이
84 질펀한 익살에 투영된 민중적
삶의 모습
금호문화 1987.08~10.(통권
29)


도서출판 심지 1988.12. 교수와 죄수 사이
85 地域감정, 그 뿌리와 惡弊 신동아 1987.11.(통권30
11)

이문열과
대담

도서출판 심지 1988.12. 교수와 죄수 사이
86 교수와 죄수 사이 샘터 1987.11.(통권18
11)


도서출판 심지 1988.12. 교수와 죄수 사이
87 광주치유방안을 본 광주지식인의 소리 주간조선 1988.04.17.(통권
994)

특별기고
88 󰡔녹두장군󰡕연재를 잠시 쉬면서 월간 경향 1988.05.

89 작품 주변 양우당 1988.09. 오늘의 한국문학
33인선(별권)

90 민담의 기원과 이야기 방식 독어교육 1988.11.(6)

91 한국설화에 나타난 미륵사상 한진출판사 1988. 미륵 사상과
민중사상
평론
92 (한국방송통신대학교재)소설창작론 한국방송통신대학 1988.
소설창작론
93 湖南평야와 東學農民戰爭 도서출판 심지 1988.12. 교수와 죄수 사이
94 동학농민전쟁의 발자취 도서출판 심지 1988.12. 교수와 죄수 사이
95 꺼지지 않는 抵抗救國의 횃불 도서출판 심지 1988.12. 교수와 죄수 사이
96 죽음으로 종을친 종철이 도서출판 심지 1988.12. 교수와 죄수 사이
97 한국 설화에 나타난 변혁사상 도서출판 심지 1988.12. 교수와 죄수 사이 󰡔보쌈󰡕에서
한국설화에 나타난 민중
혁명사상
으로 제목 변경.
98 다시 강단에 서서 도서출판 심지 1988.12. 교수와 죄수 사이
99 로 생각하고, 로 실천하고 도서출판 심지 1988.12. 교수와 죄수 사이
100 우화 한 토막 도서출판 심지 1988.12. 교수와 죄수 사이
화남 2005.03. 마을, 그 아름다운
공화국
101 소흑산도 도서출판 심지 1988.12. 교수와 죄수 사이
102 신랑감 고르러 나선 처녀 실천문학사 1989.09. 보쌈 민담
103 보쌈 실천문학사 1989.09. 보쌈 민담
104 독장사 경륜 실천문학사 1989.09. 보쌈 민담
105 어느 스님의 꿈 실천문학사 1989.09. 보쌈 민담
106 저승 빚과 이승 빚 실천문학사 1989.09. 보쌈 민담
107 주먹 맞은 대감 실천문학사 1989.09. 보쌈 민담
108 천 냥짜리 주지 실천문학사 1989.09. 보쌈 민담
109 사또의 명재판 실천문학사 1989.09. 보쌈 민담
110 만병통치약 실천문학사 1989.09. 보쌈 민담
111 대감의 점괘 실천문학사 1989.09. 보쌈 민담
112 별난 과거 실천문학사 1989.09. 보쌈 민담
113 개미의 보은 실천문학사 1989.09. 보쌈 민담
114 동자삼 실천문학사 1989.09. 보쌈 민담
115 의원 형제 실천문학사 1989.09. 보쌈 민담
116 지렁이탕과 못된 며느리 실천문학사 1989.09. 보쌈 민담
117 고약한 시어머니 실천문학사 1989.09. 보쌈 민담
118 목탁 실천문학사 1989.09. 보쌈 민담
119 모주꾼과 학질 실천문학사 1989.09. 보쌈 민담
120 먹으면 죽는 곶감 실천문학사 1989.09. 보쌈 민담
121 장기 실천문학사 1989.09. 보쌈 민담
122 구두쇠 동네 실천문학사 1989.09. 보쌈 민담
123 아기장수 우투리 실천문학사 1989.09. 보쌈 민담
124 아기장수 실천문학사 1989.09. 보쌈 민담
125 운주사 와불 실천문학사 1989.09. 보쌈 민담
126 견훤의 출생 실천문학사 1989.09. 보쌈 민담
127 임란을 앞둔
천상 회의
실천문학사 1989.09. 보쌈 민담
128 남산골 샌님의
백비탕
실천문학사 1989.09. 보쌈 민담
129 학의 치료법 실천문학사 1989.09. 보쌈 민담
130 족제비와
산초나무
실천문학사 1989.09. 보쌈 민담
131 광주민중항쟁을 우리 역사에서 어떻게 계승할 것인가 사회와 사상 1989.05.
대담
132 선생님 공부합시다 한겨레신문 1989.08.10.
시론
133 문교부는 누구의 문교부인가? 한겨레신문 1989.08.24.
시론
134 시골밭둑의 싱싱한 수풀-산 너머 남촌 창작과비평사 1990.

135 소설과 이야기 정민 1990. 강좌, 민족문학
136 5월의 꿈,오월의 분노 실천문학사 1990. 광주여 말하라 광주민중
항쟁 증언록
137 항쟁정신의 역사적 계승 풀빛 1990. 광주오월 민중항쟁
사료전집
간행사
138 녹두장군 전봉준 민족정신 1990.03.(창간호)

139 나와 518 월간 예향 1990.05. 5월의 꿈,
5월의 분노
자필수기
140 아직도 문학작품은 엄두가 안나 실천문학 1990.06.(통권18)

141 꿈틀거리는 거인의 땅 중국 사상문예운동 1990.09.(5)

142 동학농민전쟁의 문학적 과제들
-이영호의 1894년 농민전쟁의 역사적 성격과 역사소설을 비판한다.
한길문학 1990.10.(통권6)



143 언론과 총장들이 할 일 한겨레신문 1991.05.07.
시론
144 5월의 아이들 동아일보 1991.05.17.
시론
145 운주사 천불천탑 설화와 변혁사상 실천문학 1991.여름(통권22)
비평
146 갑오동학농민전쟁 이후의 이야기 문화저널 1991.10.(통권41)

147 고은, 그 속수무책의 사나이 창작과 비평사 1992.04. 내일의 노래 발문
화남 2005.03. 마을, 그 아름다운
공화국
148 과감한 개혁으로 민족화합 이루자/ 새 정부에 거는 기대 한겨레신문 1993.01.01.

149 광주특별법 조선일보 1993.05.18.
시론
150 518피해당사자 주간 조선 1993.05.20.
(통권1254)

인터뷰
151 역사와 문학-송기숙 선생을 찾아서 실천문학 1993.07.04.(통권31)
대담
152 작가와 역사가와의 만남 송기숙VS우윤의 동학논쟁 (월간)예향 1994.1.1.(통권112)

153 빛고을 다담 1994.01.
찻집 소개글
154 농민군, 우리 민족의 표상-장편역사소설 󰡔녹두장군󰡕 민족예술 1994.04.(통권2)

155 농민전쟁 지명 잘못 쓰고 있다 한겨레신문 1994.05.05.

156 역사적 사실과 소설적 형상화 민족문학사연구 1994.

157 작가에게 지워진 역사의 짐 창작과 비평 1994.겨울.(통권86)
수상 소감
158 만년 야인, 박현채씨 창작과비평사 1995.06. 민족경제론과
한국경제
󰡔마을, 그 아름다운 공화국󰡕에서 만년야인 박현채로 제목 변경
화남 2005.03. 마을, 그 아름다운
공화국
159 떡값과 고둥값 현대문학 1995.12.(통권492)
신년에세이
160 5백 년 거목인
듯 든든하다
현대문학 1996.08.(통권500)
축사
161 갈라진 민심 法治
만으론 모을
수 없다
신동아 1997.04.(통권40
4)

대담
162 518과 김영삼대통령 한국일보 1997.05.17.
시론
163 전통문화와 민중의 문학적 상상력

용봉논총

1997.5.29.(26)
전남대학교
개교45주년
인문학 심포지움 발표문

2005.11. 문화로 읽는 삶의
풍경
164 노씨 사면은 역사의 후퇴 한겨레신문 1997.12.22.
특별기고문
165 지역감정을 넘어 정치개혁으로 창작과비평 2000..(통권107)

166 풍수사상과 전라도 역지설 전남대학교
박물관
2000.03.24. 뒤돌아보는 20세기
문화와 예술

167 귀한 기회 도공이 자기 다루듯 한겨레신문 2000.06.17.
특별기고문
168 통일시대 이렇게 준비하자 서울신문 2000.07.18.
시론
169 박정희 교육정책反面개혁 경향신문 2000.08.11.
시론
170 농민사에 대한 애정 박이정 2000.10. 고전에서 현대까지
호남문학기행

171 이수인 교수의 정치적 순발력 실천문학 2001. 이수인, 신의와
헌신으로 살다

172 작품 쓰기와 현장 답사 창작과 비평사 2001.05. 민족의 길,
예술의 길

173 문화정책의 문제점과 지역문화의 진작 한국지역사회
학회
2001.06.(9권제1) 지역사회연구
174 시문화발전과 지역문화-문화발
전과 지역문화진작을 중심으로
분권과 혁신 2001.10.(통권12)

175 있어야 할 곳에 있는 시인 시와 사람 2002.02. 문병란 시 연구
176 마을, 그 아름다운 공화국 녹색평론 2002.09.(통권66)
연재 산문
내일을 여는
작가
2002.여름.(통권27)
화남 2005.03. 마을, 그 아름다운
공화국
177 우리 시대의 작가들은 무엇을 생각하는가 실천문학 2002. 여름.
조정래현기영과 좌담
178 붉은 악마와 국가주의 시비 내일을 여는
작가
2002.가을.(통권28)

화남 2005.03. 마을, 그 아름다운
공화국
179 나의 삶, 나의 문학-녹두장군을
찾아서
정신과 표현 2002.11.(통권33)

180 나의 소설 나의 소설론-역사로서
현실보기
정신과 표현 2002.12.(통권34)

181 독일의 죄수와 프랑스의 걸인 내일을 여는
작가
2002.겨울호.(통권
29)


화남 2005.03. 마을, 그 아름다운
공화국
182 내가 본 황석영 창비 2003.11. 황석영 문학의 세계
화남 2005.03. 마을, 그 아름다운
공화국
183 입 벌린 운동화 화남 2005.03. 마을, 그 아름다운
공화국

184 , 섬사람들 화남 2005.03. 마을, 그 아름다운
공화국

185 최전방, 그 천국과 지옥 화남 2005.03. 마을, 그 아름다운
공화국

186 치매환자와 히틀러 화남 2005.03. 마을, 그 아름다운
공화국

187 병역시비가 남긴 것 화남 2005.03. 마을, 그 아름다운
공화국

188 모란과 배추와 나비와 화남 2005.03. 마을, 그 아름다운
공화국

189 공안정국의 칼날 화남 2005.03. 마을, 그 아름다운
공화국

190 비내리는 호남평-호남평야와
동학농민전쟁
화남 2005.03. 마을, 그 아름다운
공화국

191 풍수와 참언과 설화와-풍수사상
과 전라도 역지설
화남 2005.03. 마을, 그 아름다운
공화국

192 옛날 사람들의 선전술-농민전쟁
과 민중의식의 성장
화남 2005.03. 마을, 그 아름다운
공화국

193 책방이 수령의 뺨을 갈겨 놓고-
압제자와 비폭력
화남 2005.03. 마을, 그 아름다운
공화국

194 통일 될 때까지 민족의식버려
서는 안 돼!
CBS시사자키 2005.05.02.



195
민주화에 교수들도 큰 역할을
했지
518기념재단 2006. 구술생애사를
통해 본 518
기억과 역사 1

◎ 작가연구서지
고은, 󰡔만인보󰡕12, 창작과비평사, 1996.
공광규, 「참으로 거대하게 아름다운 불꽃자리에 서다, 송기숙과 󰡔녹두장군󰡕」, 󰡔한길문학󰡕, 1990, 10.
공종구, 「송기숙의 소설에 나타난 분단의식의 실체와 그 의미」, 󰡔현대문학이론연구󰡕(제16집), 2001.
      , 「송기숙의 분단소설에 나타난 화해」, 󰡔한국문학이론과 비평󰡕(제30집), 2006.  
구중서, 「이달의 소설-송기숙의 ‘제7공화국’」, 󰡔동아일보󰡕, 1988. 12. 14.
곽광주, 「소설의 구조발생론적 분석」, 󰡔세계의 문학󰡕(통권2권2호), 1977.
권영민, 「송기숙의 󰡔어머니의 깃발󰡕 기타」, 󰡔한국문학󰡕12권 2호, 1984. 2.
권일송, 「원색의 사나이와 그 멋」, 󰡔현대문학󰡕(통권222호), 1973.
김도연, 「진실을 밝히는 힘」, 󰡔테러리스트󰡕, 도서출판 겨레, 1986.
김병걸, 「󰡔자랏골의 비가󰡕해설」, 󰡔현대문학󰡕(통권247호), 1975. 7.
      , 「역사를 보는 탄탄한 시각」, 󰡔세계의 문학󰡕4권 1호, 1979. 3.
      , 「민중소설」, 󰡔오늘의 한국문학 33인선(송기숙 편)󰡕32, 양우당, 1987.
      , 「農民과 現場小說」, 󰡔한국문학의 현단계Ⅰ󰡕, 창작과비평사, 1988.
      , 「反日的 政治小說」, 󰡔실천시대의 문학󰡕, 실천문학사, 1988.
      , 「민중소설」, 󰡔오늘의 한국문학 33인선 작품세계󰡕, 양우당, 1988.
김병욱, 「󰡔자랏골의 悲歌󰡕의 크로노토프와 담론」, 󰡔한국문학이론과비평󰡕(제11권), 2001.
김사인, 「우리 시대의 소금」, 󰡔우리시대의 한국문학(송기숙 편)」, 계몽사, 1986.
김승종, 「󰡔녹두장군󰡕과 󰡔갑오농민전쟁󰡕의 비교연구」, 󰡔현대소설연구󰡕(제2호), 1995. 
      , 「소설의 리얼리티와 방언의 효과-󰡔녹두장군󰡕중심으로-」, 󰡔현대소설연구󰡕(제8호), 1997. 
김열규, 「Topophilia: 토포스를 위한 새로운 토폴로지와 시학을 위해서」, 󰡔한국문학이론과 비평󰡕(제20집, 7권 3호), 2003.
김영기, 「우리 시대의 소금」, 󰡔우리시대의 한국문학(송기숙 편)󰡕, 계몽사, 1986.
김옥경, 「현대소설의 민속 수용 양상과 의미: 호남지역 배경의 작품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김윤규, 「일어난 일과 쓰고 싶은 일들」, 󰡔한국소설의 풍경󰡕, 새미, 2005.
김윤식ㆍ권영민, 「송기숙씨의「당제」」, 󰡔중앙일보󰡕, 1983. 7. 20.
김윤식ㆍ정호웅, 󰡔한국소설사󰡕, 문학동네, 2000.
김인환, 「解放의 言語」, 󰡔창작과비평󰡕(통권50호), 1978, 겨울.
김정하, 「현대소설에 형상화된 ‘도깨비’ 고찰」, 󰡔한국학논집󰡕(제30집), 명지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03.
김종철, 「통일과 문학」, 󰡔오늘의 책󰡕, 1984. 9.
김종출, 「7월의 작단-주목할 만한 신작품 2편(오인문 〈진공계〉, 송기숙 〈백의민족〉)」, 󰡔국제신문󰡕, 1969. 7. 17.
김춘섭, 「소설가 송기숙, 그 ‘영혼과 형식’-내가 본 송기숙 교수의 옆모습」, 임환모 엮음, 󰡔송기숙의 소설세계󰡕, 태학사, 2001.
      , 「문학의 지방화와 탈식민주의」, 󰡔현대소설연구󰡕(제19호), 2003.   
나경수, 「문학민속학적 비평방법을 통한 송기숙 소설 읽기-󰡔오월의 미소󰡕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 비평󰡕(제9호), 2000.
박병오, 「󰡔갑오농민전쟁󰡕과 󰡔녹두장군󰡕의 비교 연구-역사적 환경과 작중 인물의 분석을 통하여」,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7.
박상준, 「이념의 구현과 역사 구성의 변주」, 민형기 엮음, 󰡔남북한 역사소설 비교 연구󰡕, 계명대학교출판부, 2006.
박석무, 「아름다운 기인이 쓴 마을 이야기」, 󰡔창작과비평󰡕(통권128호), 2005.
박진도ㆍ한도현, 「새마을운동과 유신체제: 박정희 정권의 농촌 새마을운동을 중심으로」, 󰡔당대비평󰡕(통권 47호), 1999.  
박태순, 「동학 100, 분단50년의 사회사」, 󰡔사회평론󰡕, 1992.
박현채ㆍ송기숙 대담, 「80년대의 민족사적 의의」, 󰡔실천문학󰡕(통권8호), 1987. 
박혜강, 「청송녹죽의 꿈, 황토의 땅-송기숙의 ‘자랏골의 비가’와 장흥」, 󰡔금호문화󰡕(제66호), 1990, 12.     
백낙청, 「80년대 소설의 분단극복의식-송기숙 소설집 󰡔개는 왜 짖는가󰡕를 중심으로」, 󰡔분단시대와 한국 사회󰡕, 까치, 1985.
      , 「지구시대의 민족문학」, 󰡔창작과 비평󰡕(통권81호), 1993.
서경석, 「비극적 혁명과 개벽사상의 현재성- 송기숙의 󰡔녹두장군󰡕을 중심으로」, 󰡔소설과 사상󰡕(제3권 4호), 1994.
      , 「투철한 역사의식과 농민적 언어의 가능성」, 󰡔한국소설문학대계󰡕56, 동아출판사, 1995.
      , 「투철한 역사의식과 비극적 근대의 탐구-송기숙의 역사소설을 중심으로-」, 임환모 엮음, 󰡔송기숙의 소설세계󰡕, 태학사, 2001.   
송기섭, 「재현의 진실과 미적 성실성-󰡔암태도󰡕론」, 임환모 엮음, 󰡔송기숙의 소설세계󰡕, 태학사, 2001.
송기숙ㆍ박양호 대담, 「나의 文學, 나의 小說作法」, 󰡔현대문학󰡕(통권348호), 1983.
송명희, 「탈식민주의와 지역문학 연구-김정한, 송기숙을 중심으로-」, 󰡔현대소설 연구󰡕(제19집), 2003.
      , 󰡔타자의 서사학󰡕, 푸른사상사, 2004.
송재영, 「小說의 두 次元」, 󰡔현대문학의 擁護󰡕, 문학과 지성사, 1979.
송지현ㆍ최현주, 「‘5월 정신’의 문학적 형상화 과정 연구-송기숙의 1980년대 이후 소설을 중심으로」, 임환모 엮음, 󰡔송기숙의 소설세계󰡕, 태학사, 2001.
송현호, 「송기숙 문학의 세 갈래와 저항문학적 성격」, 임환모 엮음, 󰡔송기숙의 소설세계󰡕, 태학사, 2001.
      , 󰡔문학이 있는 풍경󰡕, 새미, 2004.
안남일, 「현대소설에 나타난 분단콤플렉스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안혜련, 「여성 민중공동체에 의한 대안적 양성성의 구현」, 임환모 엮음, 󰡔송기숙의 소설세계󰡕, 태학사,  2001.         
      , 「5ㆍ18문학의 대안적 여성성 구현 양상 연구」, 󰡔민주주의와 인권󰡕(제2권1호), 2002.
      , 󰡔페미니즘의 거울󰡕, 인간사랑, 2001.
염무웅, 「민중적 인간상의 작가 송기숙」, 󰡔도깨비 잔치󰡕, 백제, 1978.
      , 「농민소설의 민중문학적 맥락-김정한과 송기숙의 소설사적 위치에 관한 메모-」, 󰡔문예미학󰡕(제9집), 2002.
      , 󰡔모래 위의 시간󰡕, 작가, 2002.
오충건, 「송기숙 소설 󰡔암태도󰡕연구」, 순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우수영, 「송기숙 녹두장군의 민중 역량 조직화 양상 고찰」, 󰡔동학학보󰡕, 동학학회, 2014. 
유희락, 「되돌아오는 동학농민전쟁」, 󰡔한겨레신문󰡕, 1994.3.11.
이기대, 「구활자본 〈녹두장군〉의 서지 사항과 서술 양상에 대한 연구」, 󰡔동학학보󰡕, 동학학회, 2014. 
이기인, 「송기숙의 󰡔녹두장군󰡕 연구」, 󰡔어문논집󰡕(제52집), 민족어문학회, 2005.
이동연, 「역사소설의 현실주의적 성취의 가능성-송기숙의󰡔녹두장군󰡕론-」, 󰡔실천 문학󰡕(통권34호), 1994.
이명재, 「농촌소설의 맛」, 󰡔어머니의 깃발󰡕, 도서출판 심지, 1988.
이미란, 「무심필(無心筆)의 산실을 찾아」, 󰡔소설시대󰡕(통권4호), 평민사, 2002.
이문구, 「송기숙-그는 어떤 사람인가」, 󰡔재수없는 錦衣還鄕󰡕, 시인사, 1979.
      , 「보리숭늉」, 󰡔현대의 한국문학 19(송기숙 편)󰡕, 범한출판사, 1984.
      , 「인간천연기념물」, 󰡔이문구의 문인기행󰡕, 열린세상, 1994.
      , 󰡔이문구의 문학동네 사람들󰡕, 랜덤하우스중앙, 2004.
이봉범, 「1970년대 농민소설의 한 수준-송기숙의 󰡔자랏골의 悲歌󰡕론󰡕, 󰡔반교어 문학회지󰡕, 2000.
이상경, 「농민의 시각으로 그려낸 농민전쟁」, 󰡔창작과 비평󰡕(통권83호), 1994. 
      , 「역사 소설의 주인공과 성격화 문제」, 󰡔민족예술󰡕(통권3호), 1994.
이상식, 󰡔역사의 증언󰡕, 전남대출판부, 2001.
이영호, 「1894년 농민전쟁의 역사적 성격과 역사소설-󰡔갑오농민전쟁󰡕과 󰡔녹두장군󰡕을 중심으로-」, 󰡔창작과 비평󰡕(통권69호), 1990. 
      , 「1894년 농민전쟁 연구의 방향모색」, 󰡔창작과 비평󰡕(통권83호), 1994.
이의로, 「남ㆍ북한 역사소설의 리얼리즘과 민중성 비교 연구-󰡔녹두장군󰡕과 󰡔갑오농민전쟁󰡕을 통하여」,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이홍재, 「宋基淑교수 어떻게 지냈소」, 󰡔(월간)예향󰡕(통권1호), 1984.
이훈, 「한국 지성인 가장 비판받아야 할 때」, 󰡔(월간)예향󰡕(통권48호), 1988.
임규찬, 「전투적 민중성과 ‘오월’의 정치학」, 임환모 엮음, 󰡔송기숙의 소설세계󰡕, 태학사, 2001.
      , 「시간의 태풍 너머, 기억의 깊은 항구-송기숙론」, 󰡔문학들󰡕(제1권), 2005.
      , 󰡔작품과 시간󰡕, 소명출판, 2001.
      , 󰡔비평의 창󰡕, 강, 2006.
임동확, 「송기숙: 내적 자각과 세대적 책임감」, 󰡔동서문학󰡕(통권213호), 1994.
임홍배, 「역사와 문학-송기숙 선생을 찾아서」, 󰡔실천문학󰡕,(통권31호), 1993.
임환모, 「송기숙 소설의 서사 전략」, 임환모 엮음, 󰡔송기숙의 소설세계󰡕, 태학사, 2001.   
장백일, 「인생추구에의 미학-송기숙 소설의 의의」, 󰡔시문학󰡕, 1978.7.      
전영태, 「좌절하지 않는 불패자의 의지」, 󰡔현대한국단편문학󰡕65, 금성출판사, 1984.
      , 「평범한 형식, 비범한 내용」, 󰡔어머니의 깃발󰡕, 도서출판 심지, 1988.
정경운ㆍ정명중ㆍ박찬모, 「송기숙의 삶, 그리고 문학」, 임환모 엮음, 󰡔송기숙의 소설세계󰡕,
        태학사, 2001.
정경운, 「한국소설에 나타난 테러리즘 고찰」, 󰡔현대문학이론연구󰡕(제16집), 2001.
정명중, 「5월 항쟁의 문학적 재현 양상」, 󰡔민주주의와 인권󰡕(제3권 2호), 2002.
      , 「‘5월’의 재구성과 의미화 방식에 대한 연구」, 󰡔민주주의와 인권󰡕(제5권 1호),               2003.
정현기, 「무당굿과 소설가」, 󰡔창작과비평󰡕(통권 54호), 1972.
정호웅, 「송기숙론-70년대 농민문학의 한 수준」, 󰡔현대작가연구󰡕, 1989. 6.
      , 「혁명성의 서사-󰡔녹두장군󰡕론」, 임환모 엮음, 󰡔송기숙의 소설세계󰡕, 태학사, 2001.
정창범, 「이달의 소설-「영감님 빠이빠이」」, 󰡔중앙일보󰡕, 1971. 4. 19.
조광현, 「문학지를 통해 본 문단 비사」, 󰡔중앙일보󰡕, 1978. 7. 26.
조은숙, 「송기숙 소설에 나타나는 근대성-1970년대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어문논총󰡕(제19호),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08.
      , 「송기숙 소설에 나타난 작가의식」, 󰡔민주주의와 인권󰡕(통권8권), 5ㆍ18연구소, 2008.
      , 「󰡔녹두장군󰡕과 설화의 상호텍스트성」, 󰡔현대문학이론연구󰡕(제35집), 현대문학이론학회, 2008.
      , 「송기숙 소설의 토포필리아 연구」, 󰡔현대문학이론연구󰡕(제46집), 현대문학이론학회, 2011.
      , 「동학농민전쟁의 소설화 전략 비교 연구-송기숙의 󰡔녹두장군󰡕과 한승원의 󰡔동학제󰡕를 중심으로」, 󰡔현대문학이론연구󰡕(제49집), 현대문학이론학회, 2012.
      , 「지리산권 동학농민혁명의 상징성 연구」, 󰡔남도문화연구󰡕(제26집), 순천대학교 지리산권문화연구원 남도문화연구소, 2014.
진정석, 「민중적 주체로서의 복원을 위한 도정-송기숙론」, 󰡔창작과 비평󰡕(통권89호), 1995. 가을.
      , 「민중 문학의 새로운 전개를 위하여-송기숙론」, 임환모 엮음, 󰡔송기숙의 소설세계󰡕, 태학사, 2001.
채광석, 「삶의 중심에 살아 있는 총체성을」, 󰡔어머니의 깃발󰡕, 도서출판 심지, 1988.
채길순, 「동학혁명의 소설화 과정 연구」, 청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 8.
      , 「동학혁명의 소설화 과정과 과제」, 󰡔한국문예비평연구󰡕 제6집, 2000. 6.
채호석, 「역사와 소설이 만나는 네 가지 방식-최근 발간된 동학관련 대하소설을 읽고」, 󰡔문학동네󰡕(창간호), 1994. 
최원식, 「토지와 평화와 빵」, 󰡔민족문학의 논리󰡕, 창작과비평사, 1982.
       , 「民衆性의 恢復」, 󰡔현대의 한국문학 19(송기숙 편)󰡕, 범한출판사, 1984.   
최종우, 「1970년대 농민소설에 나타난 현실 인식: 송기숙의 󰡔자랏골의 비가󰡕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최현주, 「󰡔녹두장군󰡕의 탈식민주의 페미니즘 연구」, 󰡔배달말󰡕(통권40), 2007.
      , 「민중적 생명력과 역사의식의 형상화」, 󰡔한국언어문학󰡕, 2003.
      , 「송기숙 소설의 탈식민성 고찰 󰡔녹두장군󰡕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이론연구󰡕(제22집), 2004.
      , 「근대에 대응하는 소설의 두 가지 존재방식-이청준과 송기숙 소설을 중심으로」, 󰡔감성연구󰡕(제14권),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7.
하정일, 「다시 일어서야 하는 땅, 광주-광주문학 20년을 되돌아보며」, 󰡔실천문학󰡕(58호), 2000. 여름.
한국현대사료연구소, 󰡔광주여 말하라: 광주민중항쟁 증언록󰡕, 실천문학사, 1990.
                  , 󰡔광주오월 민중항쟁 사료전집󰡕, 풀빛, 1990.
한명환, 「분단 비극과 이념 갈등의 해소와 전망-송기숙의 󰡔은내골 기행󰡕의 구성과 문체를 중심으로」, 임환모 엮음, 󰡔송기숙의 소설세계󰡕, 태학사, 2001.
한승원, 「‘자랏골’을 찾아서」, 󰡔우리시대의 한국문학(송기숙 편󰡕, 계몽사, 1986. 
한승옥, 「󰡔녹두장군󰡕의 갈등 양상과 다성적 특질」, 󰡔현대소설연구󰡕(제2호), 1995.
한순미, 「송기숙 소설의 민중문화적 상상력-작가의 시선과 인물의 변증법-」, 임환모 엮음, 󰡔송기숙의 소설세계󰡕, 태학사, 2001.
황광수, 「공유적 삶의 세계와 분단시대」, 송기숙, 󰡔은내골 기행󰡕, 창작과 비평사, 1996.
홍성식, 󰡔한국문학을 인터뷰하다󰡕, 당그레출판사, 2007.
홍정선, 「삶과 역사를 향해 열린 공간-송기숙의 소설세계」, 󰡔어머니의 깃발󰡕, 도서출판 심지, 1988.

                     〈참조: 조은숙, 󰡔송기숙의 삶과 문학󰡕, 역락, 2009.〉 

업데이트 2021.9.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