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흥읍 부녀 생활개선을 선도해 온 사람들 모임
●부녀자들의 생활개선사업으로 추진했던 농촌부녀자들의 활동복 패션
●1960~70년 장흥읍 송암리 썩시골 삼애원 정착자 자활 개간구역(2~5정)
●당시 이 마을에서 태어나 자란 사람들. 지금은 의젓한 사회인으로(삼애원은 자활갱생원이다.)
●삼애원을 운영한 사람들
●남 다른 노력으로 자립. 지금은 넉넉한 생활에 보람있게 지낸다.
●1960년대의 우리의 초상. 깡통 모습이 낯설기만 하다.
6. 나무로 엮은 다리에서 12층 아파트까지/건설
●98년 전의 예양강 대나무다리. 나루배와 나루터 주막이 세월의 흐름을 느끼게 한다.(1897)
●장흥교의 개교를 축하하며(1930년대)
●옛 동교다리의 모습. 다리 폭은 4m였고 다리 밑으로 옛날 다리인 나무다리 잔해가 보인다.(경문당 인쇄소가 보인다)
●박림쏘에서 잉어낚시하는 태공(옛 이야기가 됐다.)
●현 천주교 앞 둑길
●공사 후 통행 모습(다리 확장 후)
●1958년 손석두 국회의원이 선거공약으로 동교확장공사. 정과 망치로 부수는 모습
●제방공사되기 전의 예양강 뚝자리
●울력으로 쌓은 예양강 제방. 일제는 공사 시작전 근로보국대기를 세워놓고 동방요배를 시켰다.
●제방공사 기공식을 마치고 기념사진. 고창석 읍장과 직원들. 일인 추진위원들의 모습도 보인다.
●우리고장의 산물을 실어내기 위해 장흥-해창간 도로를 1917년 개설했다. 멀리 사자산이 보인다.
●마을별 가구별로 활당하여 자갈 울역을 강요하여 나라의 동맥이라며 관리했다.1950년대의 도로관리를 위해 출력했다.
●1960년 신흥마을 진입로 확장. 도로 완공 테이프를 끊고 있는 군수와 기관장
●새마을 사업으로 후손을 위해 진입로를 내던 때 돈을 받지 않는 출력이었지만 즐거웠다.
'장흥열린자료실(DB) > ■장흥 100년사(1996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진으로 보는 장흥100년사(161p~175p) (0) | 2020.05.12 |
---|---|
사진으로 보는 장흥100년사(146p~160p) (0) | 2020.05.11 |
사진으로 보는 장흥100년사(131p~135p) (0) | 2020.05.08 |
사진으로 보는 장흥100년사(125p~130p) (0) | 2020.05.08 |
사진으로 보는 장흥100년사(118p~124p) (0) | 2020.05.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