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장흥열린자료실(DB)/■장흥 100년사(1996년)

사진으로 보는 장흥100년사(146p~160p)

by 장흥문화원 관리자 2020. 5. 11.

도로개설시의 울력(장흥-남포선 구간의 자울재에서)

 

 

지게와 달구지는 우리 고향을 생각나게 하고

 

 

 

 

 

 

 

 

 

장평면 청룡리 소류지 공사. 장평면 청룡리 마을 주민들은 이렇게 땀흘려 일했다. 순수한 노력, 이때만 해도 농기구외 특별한 장비가 없었다.

 

 

 

 

용산 덕암보 설치를 역설하는 김미식씨, 김용관 지사와 군수가 듣고 있다.

 

 

 

덕암보 공사 시공현장. 1963. 4. 3 착공

 

 

 

 

 

 

대덕면 율지리 100여정보가 홍수로 매몰된 농지를 피해복구하는 광경(사라호)

 

 

 

사촌 분배식 끝나고 대덕사업이 시작된다. 1954년도 안양 사촌 장재도 연륙공사 현장

 

 

 

 

 

 

 

 

 

흥업회에서는 부모형제가 없는 난민을 위해 따뜻한(전인표, 황만일 혼주가 돼서) 보금자리를 만들어 주었다.

 

 

 

1950년대 말 군청내에 있는 공회당에서 장흥군 지활 정착단원 45쌍의 합동결혼식.

 

 

 

 

행사장 근경

 

 

 

행사장 뒤로는 아직도 초가집이 즐비했다.

 

 

 

5.16이후 국토확장 사업의 일환으로 활발하게 전개된 간척사업(대덕자조정착사업 조성농지 분배식에 박정희 대통령 권한대행과 미국 버거대사 참석하였다.)(1962.11.27)

 

 

 

 

안양 사촌 난민정착지 농지분배식. 1954년 시작해 1957년 완공 이후 대덕사업이 시작된다.)

 

 

 

 

 

 

대덕 난민 정착사업장 제방 준공

 

 

 

 

 

 

 

 

 

대덕 덕촌 간척사업장의 군수실에서 당시의 상황을 설명받는 김용관 지사. 당시 본군 출신 김용관 지사에게 관계들은 장흥에 대한 부탁도 잊지 않았다.

 

 

 

선임 김용관 도지사 초도순시중 가내수공업 공장 시찰

 

 

 

흥업회 가내수공업 공장을 보고 나오는 김용관 지사, 김수남 군수

 

 

 

군내 기관장들이 덕촌 자활 정착 사업장을 시찰

 

 

 

장흥읍 송암리( 강진 군동과 경계) 사인바위앞 도로의 범람. 이 곳은 작천 발원의 강줄기가 유치 발원의 본류와 만나는 지점으로 유량이 많았으나 지금은 직강공사로 메워져 버렸다. 당시 주막집이 보이며 아래 사진에서는 방앗간까지 침수되었다.(1971.8)

새암바위 앞 물방앗간이 침수

 

 

 

군계지역인 새암바위앞 도로가 폭우로 침수된 장면

 

 

폭우로 인하여 범람된 관산 고읍천 전경

 

 

 

관산 고읍천이 범람 물바다가 됐다.

 

 

 

부산 유량리의 전파가옥과 세간살이

 

 

 

대덕읍 연지리 세월교의 침수(1971)

 

 

 

장동 구시 방죽 붕괴직전 관련인사들의 현지 확인

 

 

 

 

 

 

 

 

7. 시대따라 변한 농자천하지대본/ 산업

 

 

 

 

 

 

 

 

 

 

장흥보통학교 학생들이 벼를 베는 실습을 하고(1912)

 

 

 

1920년대 만해도 일본인 지주는 흔했다. 우리땅을 빼앗기고 품팔이 하고 있는 우리 어머니, 아버지들. 여기에 두 사람은 일인지주, 이 때 우리 품삭이 쌀 반되였다. (건산리 장흥농협 뒤)

 

 

 

일본인 酒井(사가이) 농장(1915과수원 조성되기 이전)

 

 

 

50년대 비료가 없던 시절 분뇨는 농가의 중요한 거름이었다.

 

 

 

농기계가 없던 시절 농부에게 소는 유일한 재산이었다.

 

 

 

제초제가 없던 시절 한 여름 땡볕에서 논메기하는 아낙들

 

 

 

바쁜 하루중에도 농주 한 잔 곁들인 후 바지게를 침대삼아 피로를 풀던 때

 

댓글